코로나19 초비상 인도···원료의약품 수입 차질 우려
현지 공장 가동률 저하 등 수급 불안정 예고, '국내 자급률 16% 수준'
2021.05.03 12:11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 인도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수가 하루 40만명을 넘었다. 쓰나미급 확산세로 인해 인도로부터 원료의약품 수입 비중이 높은 국내 제약업계도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3일 외신에 따르면 인도의 급속한 코로나19 확산으로 인도를 오고가는 항공편이 멈추고, 일부 도시에는 봉쇄령이 내렸다. 
 
문제는 아직 최악의 상황이 아니라는 점이다. 신규 확진자 수와 사망자 수에 대한 불행한 신기록이 이어지고 있으나, 이마저도 실제보다 덜 집계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지난 3월 한 차례 발동됐던 인도 정부의 자국 원료의약품 수출 금지 조치가 한층 강화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당시 인도 정부는 내부 비축을 위해 자국 생산 원료의약품 26가지에 대한 수출을 막았다. 해열제 성분인 파라세타몰, 피부질환 치료 항바이러스 아시클로버, 항생제 성분 네오마이신, 항균제 성분 티니다졸 등이다.
 
인도는 중국과 더불어 글로벌 제약시장에 원료의약품을 공급하는 주요 공장이다. 한국을 포함해 수입국들은 인도로부터 수입된 원료를 활용해 완제의약품을 생산, 판매한다. 
 
특히 인도는 가격 경쟁력이 높아 국내 원료의약품 수입 비중이 높은 국가다.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8745억원), 일본(2911억원)에 이어 인도는 3위(2577억원)에 이름을 올렸다. 
 
국내 제약사들은 품목 허가 과정에서 원료의약품 공급처를 1~2곳 지정하는데, 중국과 인도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원료 수입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쓰나미에 가까운 감염병 확산으로 인도 원료의약품업체들이 공장 가동률을 낮추면 국내 제약업계의 원료 수급이 불안정해 질 수밖에 없다. 
 
국내 제약사 관계자는 "최근 중국이 정치적인 이슈로 상황이 불안정해 인도 원료의약품 수입 비중을 확대했다. 그런데 인도 정부도 일부 원료 수출을 제한하고,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세가 심해질 경우 더 강도 높은 조치를 내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원료 공급처 다각화를 위한 검토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제약바이오협회도 이 같은 상황을 우려해 일찌감치 국산 원료의약품 자급률 제고를 지속적으로 주장해왔다. 국내 완제의약품 자급률은 74%인 반면 원료의약품 자급률은 16%에 불과하다. 
 
원희목 회장은 "인도 혹은 중국이 원료의약품 공급을 중단하면 그 연쇄반응으로 글로벌 의약품 공급망은 대혼란을 피할 수 없다"며 "한국도 원료의약품에 대한 해외 의존도가 높은 만큼 향후 감염병 확산 대비 차원에서 원료·필수의약품 자급률을 높이는 방안을 적극 강구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2000여 원료 성분 중 국산화가 시급한 성분 200여개를 선정, 5년 후 원료의약품 자급률을 50%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집중 육성할 것을 제안했다. 
 
이와 함께 "국산 원료를 사용한 의약품에 대한 약가우대 및 사용 촉진, 생산설비 구축 지원, 세제혜택 등 다양한 정책 수립을 통해 원료의약품 생산을 독려하는 환경 조성에도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국내 제약사 관계자는 "국산 원료와 인도이나 중국 원료 간 가격 차이가 커서 수입 비중이 높다"며 "그러나 코로나19나 국제 정세 변화 등 통제 불가능한 변수가 계속 생기다보니 핵심 원료의약품의 경우 국산화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