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알츠하이머병 비슷한 치매로 진행할 수 있다'
'신종 코로나, 신경염증 및 뇌 미세혈관 손상 유전자에 영향'
2021.06.15 08:00 댓글쓰기
(서울=연합뉴스) 한기천 기자 =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는 후유증도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코로나19를 한 달 이상 앓다가 회복한 환자가, 확진 6개월 이내에 코로나19 영향으로 생긴 질환이나 증상으로 사망할 위험은 일반인보다 60% 높은 것으로 보고됐다. (미 워싱턴의대 4월 22일 저널 '네이처' 논문)


처음엔 코로나19가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질환으로 시작하지만, 장기적으론 거의 모든 인체 기관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이 논문은 밝혔다. 

이 논문은 호흡계, 심혈관계, 신경계 등 11개 범주로 나눠 코로나19의 장기 후유증 유형을 상세히 열거했지만, 다행히 알츠하이머병은 여기서 빠졌다. 그런데 코로나19가 알츠하이머병과 유사한 치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 과학자들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지난 10일(현지 시각) 의학 저널 '알츠하이머병 연구와 치료(Alzheimer's Research & Therapy)'에 논문으로 실렸다. 클리블랜드 클리닉은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 있는 비영리 연구 의료센터다.
 

사실 코로나19 장기 후유증 환자의 신경학적 합병증에 대한 연구 보고는 몇 차례 나왔다. 이런 논문은 한결같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뇌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가 어떻게 이런 문제를 일으키는지는 지금까지 분명하지 않다.
 

논문 제1 저자인 클리블랜드 클리닉 산하 유전체 의학 연구소의 청 페이싱(Feixiong Cheng) 박사는 "어떤 연구 보고는 신종 코로나가 뇌에 직접 감염된다고 하고, 어떤 보고는 뇌에 이 바이러스가 존재한다는 증거가 없다고 한다"라면서 "코로나19가 신경학적 손상과 어떻게 연관돼 있는지 알아내는 건, 효과적인 예방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라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및 코로나19 환자의 기존 데이터세트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코로나19가 알츠하이머병 유사 치매(Alzheimer's disease-like dementia)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우선 신종 코로나(SARS-COV-2)의 숙주세포 유전자와 몇몇 신경질환 관련 유전자의 근접성(proximity)을 측정했다. 근접성이 높을수록 상관이 있거나 질병 경로를 공유한다는 의미다.
 

또 신종 코로나가 뇌 조직과 세포에 감염할 수 있게 하는 유전적 요인도 분석했다.
 

연구팀은 신종 코로나가 뇌를 직접적인 감염 표적으로 삼는다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다.
 

하지만 몇몇 신경질환 연관 유전자와 신종 코로나 사이에 밀접한 네트워크 관계가 존재하고 그중 가장 두드러진 게 알츠하이머병이라는 걸 알아냈다. 이는 코로나19가 알츠하이머병 유사 치매로 이어질 수 있는 경로를 가리킨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특징인 신경염증 및 뇌 미세혈관 손상과 코로나19의 잠재적 연관성도 조사했다.
 

이 과정에서 신종 코로나에 감염되면 뇌 염증을 의심할 수 있는 알츠하이머병 지표가 크게 변하고, 특정 바이러스 진입 인자가 혈뇌장벽(blood-brain barrier) 세포에서 높게 발현한다는 걸 확인했다.
 

청 박사는 "알츠하이머병 유사 치매로 이어질 수 있는 신경 염증과 뇌 미세혈관 손상의 연관 유전자 몇 개에 신종 코로나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걸 시사한다"라고 설명했다.
 

알츠하이머병의 최대 유전적 위험 요인인 APOE E4/E4 형질을 가진 사람은 바이러스 방어 유전자 활성도가 낮다는 것도 밝혀졌다. 당연히 이런 환자는 코로나19에 더 취약해질 수 있다.
 

연구팀은 코로나19에 걸려 신경학적 합병증 위험이 최고 수위에 달한 환자를 확인하는, 검증 및 측정 가능한 생물지표 개발로 이어지길 바란다.
 

청 박사와 동료 과학자들은 그런 목표 아래, 코로나19 장기 후유증 환자의 신경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치료 표적과 실행 가능한 생물지표를 찾고 있다.
 

여기에 쓰이는 핵심 도구는 첨단 네트워크 의학과 인공지능 기술이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