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사, 베트남 진출시 현지조사 등 시행착오 줄여야'
권태근 삼일제약 상무 '토지·기후 등도 살피고 의약품 산업은 年 10% 성장'
2021.11.24 12:40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 "베트남 진출을 앞둔 제약·바이오기업이라면 우리와는 다른 정치체제와 제도, 관습을 가진 국가라는 점을 이해하고 현지조사 및 리스크 관리를 위한 정보 수집, 소통을 강화해 시행착오를 줄여야 한다."

권태근 삼일제약 상무는 지난 23일 보건산업진흥원이 개최한 '2021 보건산업 성과교류회'에서 삼일제약의 베트남 안과 CDMO(위탁생산개발) 공장 설립 과정에서의 성과와 노하우를 발표했다.

삼일제약은 2018년 제약산업 글로벌 현지화 강화 지원 사업 대상으로 선정돼 정부 지원금을 받아 현지에 안과 생산시설을 설립하고 있다. 2022년 공장 완공 이후 2023년부터 본격 가동할 예정이다. 
 
권태근 상무는 "베트남을 거점 생산기지로 선정한 이유는 성장 잠재력이 풍부하기 때문"이라며 "베트남 의약품 산업은 연간 10% 이상 성장하고 있는 시장"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베트남 정부가 자국 제약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라며 "과거에는 글로벌 제약사의 우수한 의약품을 수입해왔지만, 최근 자국 생산제품을 장려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어 현지 생산공장을 설립할 때 장점으로 작용한다"고 덧붙였다. 

권 상무는 "베트남은 적극적인 개방화 정책으로 선진국과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체결도 하고 있다"며 "근로 가능한 인구를 많이 배출하는 인구구조를 가지며, 한국 대비 약 17%의 임금 수준도 현지 진출 기업의 입장에서는 메리트"라고 강조했다. 

이처럼 시장 기회가 풍부하지만 위험 요인도 존재한다. 우리와는 다른 정치체제와 법과 제도, 기후와 같은 예측 불가능한 변수까지 포함하고 있다.

권태근 상무는 "베트남에 생산공장을 설립할 때 사회주의, 공산주의 국가라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특히 부지 선정과 관련해서 등기 구조가 다르다. 토지 거래는 가능하지만 소유권은 국가에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부지 선정 외 인허가 제도 역시 판이하게 다르다"며 "기업의 민감한 기밀 공개를 요구하기도 하고, 브로커가 껴 3개월이면 끝날 절차가 3년이 넘게 지연되기도 한다. 따라서 입찰(비딩) 전에 공적이나 사적인 루트를 이용해 가급적 많은 정보를 수집해 시행착오를 줄이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 상무는 "베트남 기후는 건기와 우기로 나뉘는데, 우기에는 공사 자재 등을 야적해 상하는 일이 발생한다"며 "동남아시아로 생산기지를 다변화할 회사는 이런 부분까지 챙겨야 하며, 회사 실무자는 물론 경영자도 이런 현장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