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등 빅5 암병원도 달갑잖은 '환자 쏠림'
"현행 제도가 초래한 부작용 심화"···"지방과 격차, 눈높이 맞게 접근 필요"
2022.06.27 06:02 댓글쓰기



[특별기획 상] 대한민국 의료는 최근 20년 동안 눈부신 발전을 이루며 선진국 반열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다. 특히 암(癌) 치료는 정밀의학 발전과 초고가 의료장비 도입 등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수준에 이르렀으며 술기와 생존율 측면에서 절대적 입지와 위상을 자랑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비약적 발전 뒤에는 왜곡된 의료전달체계와 저수가 영향 등으로 대형병원 환자쏠림, 수도권과 지방 의술 격차 등 극복하기 어려운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은 이러한 기형적 현상에 더욱 불을 붙였다. 이에 데일리메디는 대한민국 암 치료 현주소를 진단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 등을 논의하기 위해 국내 암 치료를 대표하는 빅5 암병원장들과 심도 깊은 논의를 가졌다. 이번 좌담회에는 ▲김태원 서울아산병원 암병원장 ▲금기창 연세의료원 암병원장 ▲양한광 서울대병원 암병원장 ▲이우용 삼성서울병원 암병원장 ▲허수영 서울성모병원 암병원장(이름 가나다 順)이 참석했다. 이들은 향후 대한민국 암 치료 발전 방향과 빅5 병원 역할, 암 치료 진료환경 패러다임 변화 등에 대해 진솔한 의견을 개진했다. [편집자주]


①빅5 암병원도 달갑잖은 환자쏠림…"제도가 초래한 부작용"

②“임상·치료 비해 암 연구 미약···해결책은 ‘4차병원’ 지향하면서 제도 뒷받침”


“국내 암 치료, 세계 최고 수준으로 비약적 발전…해외 의학계도 주목” 


사회 : 대한민국 암 치료 현주소를 진단한다면 


양한광 서울대병원 암병원장 : 우리나라 암 치료 부문은 최근 약 20년 동안 많은 발전이 있었다. 일부 치료방법에 대해서는 해외에서도 우리나라에서 배워갈 정도다. 코로나19 전에는 매년 수 많은 해외 의료진이 암수술을 배우기 위해 한국을 찾았다. 1960~1970년대 국내 의료진이 해외로 술기교육을 받으러 가던 시절을 생각하면 그야말로 격세지감이다.


이우용 삼성서울병원 암병원장 : 지역별 차이는 있지만 빅5 암병원만 놓고 보면 세계 어디에 내놔도 뒤지지 않는 수준이다. 다만 임상·환자 치료 분야에서는 실적이 월등하지만 교육·연구는 선진국 수준을 따라가지 못하는 ‘가분수’ 형태를 띠고 있다. 임상과 연구가 동반 성장해야 하지만 한국은 지나치게 임상에 치중해 발전해 왔다.   


김태원 서울아산병원 암병원장 : OECD 국가 22곳 중 우리나라가 암 치료 부문 1위를 기록했다는 데이터는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생존율이 높고, 사망률은 낮다. 일본·미국 등 의료선진국이라 불리는 국가들 보다 성적이 좋다. 상대적으로 해외보다 치료비도 저렴해 우리나라 암 치료가 경쟁력 있다는 게 해외 데이터로 입증된 셈이다.  


허수영 서울성모병원 암병원장 : 선진국을 능가하는 분야도 많다. 사우디아라비아·동남아시아 펠로우들이 술기를 배우기 위해 한국에서 수련과정을 밟고 있다. 30년 전에는 암에 걸리면 해외로 나가 치료받으려 했던 기억이 선명하다. 그런데 지금은 특별한 분야를 제외하고는 외국 나가서 치료 받으려는 경우는 드물다. 


금기창 연세의료원 암병원장 : 방사선 치료 부분만 놓고 보더라도 각 병원의 술기 및 장비 수준이 미국에서 가장 우수한 병원들에 버금갈 정도로 향상됐다. 이 밖에 우리나라에서 조기검진 등 치료를 잘하기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았고, 국가 차원에서는 병원에 대한 문턱을 낮췄다. 모든 환자들이 이처럼 3차 병원에 오기 쉬운 나라는 별로 없을 것이다. 


“감염병 사태 암치료 시스템 정비" 


사회 : 코로나19 동안 암치료 현장에서도 고충이 있었을 것 같다. 지난 2년 6개월을 반추하면 


양한광 암병원장 : 코로나19 전후의 암환자 병기를 조사해보니 아무래도 조금씩 진행된 건 명확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병원 입장에서는 암환자 치료에 우선권을 부여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암환자들이 치료기회를 상실하는 경우는 없었다. 다른 질환은 진료일정이 미뤄지는 경우도 왕왕 있었지만 암환자는 크게 문제 될 정도는 아니었다.

 

김태원 암병원장 : 코로나19 사태에서 문제가 된 것은 '진단과 치료의 지연'이었다. 진단이 늦어져 이미 진행됐거나 전이된 것들은 여러 논문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외국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암 치료·진단에 있어 타격이 덜했다. 이는 그동안 쌓아온 의료 인프라 덕분이라고 할 수 있겠다.


허수영 암병원장 : 감염병 사태에서의 의료체계가 제대로 정립돼 있지 않다 보니 암환자가 응급실에 오면 적잖은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중증 암환자들이 치료받을 병상도 문제였다. 코로나19가 정점을 달했을 당시 병상동원령이 내려져 암환자를 위한 중환자실 확보에 애를 먹었다. 이번 사태는 이렇게 지나가지만 향후 감염병 사태에서의 의료시스템 재정비가 필요하다.



“무너진 의료전달체계… 환자쏠림, 제도가 초래한 부작용”


사회 : 빅5 병원으로의 환자 쏠림 현상이 심각하다. 어떻게 보는지 


이우용 암병원장 : 정책이 그렇게 만들었다. 어떤 병원에 가더라도 비용이 같다면 더 좋은 병원으로 환자가 몰리는 게 당연하다. 사실 서울과 지방의 암 치료법에는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다만 지방병원은 협진이 부족하거나 진단이 너무 오래 걸리는 등 시스템 운영에 아쉬움은 있는 것 같다. 이러한 부분이 개선되면 환자들이 서울을 찾는 일이 줄어들 수 있다.


금기창 암병원장 : 수가 차별화가 필요하다. 환자는 더 잘하는 병원으로 가고 싶은 게 인지상정이다. 빅5 암병원은 갈수록 환자가 늘고 있지만 마냥 환영할 일은 아니다. 시설과 인력에 한계가 있다. 모든 환자를 치료할 수는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시스템’을 잘 활용해야 한다. 주변 병원도 일정 수준 이상을 받쳐줘야 하기 때문에 이는 상호 노력이 필요하다. 국가적 지원도 동반돼야 한다.


양한광 암병원장 : 많은 환자를 봐야 이익이 발생하도록 하는 박리다매식 진료를 부추기는 제도와 그에 따라 불가피하게 물량적 잣대로 평가하는 게 문제다. 많은 환자를 진료하지 않고도 병원을 운영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난이도가 낮은 수술은 2차 병원 외과의사가 해결할 수 있도록 암수술이 가능한 외과의사 양성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우용 암병원장 : 서울에 올 수 있는 환자는 경제적으로 어느정도 여력이 되는 분들이다. 정말 도움이 필요한 환자는 지역에서 질 낮은 수준의 진료를 받거나 아예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어디에 살더라도 최소한 기본 이상의 의료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은 국가의 의무다. 이를 국가가 책임지지 않고 지역 의료진에게 떠넘기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


허수영 암병원장 : 환자 쏠림 현상은 의료전달체계 왜곡과 기형적 의료수가에 있다. 환자 한 명을 열심히 보는 게 아니라 더 많은 환자를 봐야 하는 현실이다. 이러한 부작용을 단기적 시범사업을 통해 한 번에 해결하려는 태도 또한 문제다. 10년 동안 무너졌기 때문에 하나씩 되돌리는데도 10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회복 방안을 병원과 국가가 함께 고민해야 한다.


“수도권-지방 의술 격차, 눈높이 맞춘 수준 향상 필요” 


사회 : 환자 쏠림현상에 따른 수도권과 지방 간 의술 격차 역시 반드시 짚어야 할 문제다. 원인과 해결책은 무엇일까. 


금기창 암병원장 : 그야말로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다. 환자가 많은 곳은 배울 게 많으니 젊은 인력이 몰리게 된다. 그러다 보니 지방 소재 중소병원에서는 의사 한 명이 암 진료를 보고, 수도권  대학병원은 10명이 진료하게 되는 것이다. 시간이 흐르면 어느 쪽이 더 세분화해서 진료를 잘 볼 수 있을지는 불 보듯 뻔하지 않나. 


이우용 암병원장 : 서울과 모든 지역의 의술을 똑같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 지역에서는 평균 이상의 수술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최고 수준까지 하도록 한다면 국가 재정으로 감당이 안된다. 지역 의술 수준을 떨어뜨리는 게 아니라 유지되도록 하고 수준이 높은 곳들끼리는 경쟁을 붙이는 방안이 있다. 수도권과 지방 간 눈높이를 맞춰 생각해야 할 것 같다.  


양한광 암병원장 : 지역 암치료 활성화를 위해 지역암센터 활용 방안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공식예산도 할당되고 지원을 받으니 자연스레 그곳에 인력이 모인다. 재정적으로 어려운 병원이 갑자기 좋은 의사를 영입하는 것은 어렵다. 지역암센터를 지역 대학병원과 연계해서 현재 있는 제도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