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영 전(前) 대한의사협회 홍보이사가 "특정 인물에 의해 의정 갈등 사태 해결 기회를 마련할 모든 논의가 방해받고 있다"고 폭로했다.
3일자 중앙일보에 게재된 인터뷰 내용에 따르면 채 전 홍보이사는 1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의정 갈등의 교착 상태 원인을 이 같이 진단했다.
그가 지목한 특정 인물은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이다. 현재 의협 부회장으로도 활동 중이다.
채 전 이사는 사직 전공의로, 지난해 5월 의협 임원으로 합류했다. 의정 갈등 해법 마련에 힘을 보탰으나, 임현택 전 의협 회장의 막말 논란으로 탄핵되면서 자리를 떠나게 됐다.
이후 올해 1월 출범한 김택우 의협 집행부가 박단 대전협 비대위원장을 포용하며 사태 해결에 물꼬를 틀 것이란 기대를 모았으나, 현재까지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채 전 이사는 이와 관련 "박 위원장은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모든 형태의 논의를 거부하면서 말도 안 되는 '7대 요구안'만 고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지난 1년 동안 의협에서 일하며 겪은 일을 알려야 한다는 책임감으로 인터뷰에 나서게 됐다"며 "이제 의료계가 강경파와 다른 목소리를 내는 사람을 욕하는 분위기에서 벗어나, 실질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터놓고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왜 이런 목소리가 의협의 움직임에 반영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그는 "의협이나 대전협이 투쟁의 방향을 바꾸려면 의견 수렴이 필요한데, 박 위원장이 이런 과정을 거치고 있지 않다"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그는 1년 전 당시 의협 집행부에서협상의 전권을 주겠다고 했는데도 거절했고, 전공의·의대생 단체와 소통하기 위한 협조 요청을 모두 거부했다"고 술회했다.
채 전 이사는 "자신이 의협 집행부에 있는 지금도 보건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 구성을 의료계가 원하는 대로 해주겠다는 국회 측 제안을 거절했다. 특정 인물에 의해 의료계 내·외부 의사소통이 차단된 상태"라고 진단했다.
또한 일각에서 일단 대통령 탄핵 선고를 지켜보자는 주장에 대해선 "의료계가 대통령 탄핵 인용을 호재로 기대하고 있으나 이는 착각"이라며 "탄핵 이후에는 진짜로 책임자가 없어질 수 있다"고 반박했다.
그는 "특히 내년도 의대 정원은 5~6월이 지나면 조정이 불가능해진다"며 "의대생의 수업 거부 등 사태가 해결되지 않고 증원되면 2년이란 소중한 시간을 아무 소득없이 날리게 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