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전공의 추가모집을 통해 복귀한 인턴들의 수련 기간을 정부가 12개월에서 9개월로 3개월 단축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수련병원들 요청을 수용한 조치다. 인턴들이 이달 중에 복귀해 수련을 재개하면 내년 3월 레지던트로 승급할 수 있게 된다.
복귀 독려를 위해 수련기간 단축은 없다는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보인다. 해당 조치가 인턴들 추가 복귀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보건복지부 수련환경평가위원회는 지난 28일 전국 전공의 수련기관에 이 같은 내용의 공문을 발송 했다.
해당 공문에는 “2025년 6월 1일자로 인턴 수련을 개시해 2026년 2월 28일까지 인턴 수련을 완료하는 경우 전공의의 연차별 수련 교과과정에 따른 이수를 인정한다”고 안내했다.
인턴 수련 기간은 3월 1일부터 이듬해 2월 28일까지 12개월이다. 하지만 이번 추가모집에 복귀하는 인턴들에게는 9개월만에 수련을 마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앞서 복지부는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 길을 열어주기 위해 수련특례를 적용한 5월 추가모집을 허용했다.
복귀 전공의들에 대해선 수련 마지막 해인 레지던트 3∼4년 차에 대해선 내년 초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있도록 했다. 전문의 시험을 먼저 치른 후에 내년 5월 말까지 수련을 마칠 수 있게 한 것이다.
하지만 인턴에 대해선 수련기간은 6월 1일부터 내년 5월 31일까지로 수련기간 단축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복귀 인턴들은 내년 5월 말까지 수련을 마친 후 레지던트 1년차 수련 개시까지 공백이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5월 전공의 추가모집을 위해 세브란스병원과 삼성서울병원, 고대의료원, 서울아산병원 등 대형병원에서는 27일까지 전공의 모집을 추진했으나 전공의 복귀율은 높지 않았다.
이에 따라 서울아산병원과 고대의료원, 세브란스병원 등 일부 수련병원은 전공의 모집 기한을 연장하기도 했다.
정부의 입장 변화 배경에는 대한수련병원협의회와 대한의학회 등 일부 의료단체의 요구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단체에서는 복지부에 인턴수련기간을 3개월 단축해 달라고 건의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기존 복귀 인턴들과의 형평성 문제로 계속 고민했다. 하지만 수련기관에서 기간이 단축돼도 수련의 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책임지겠다는 의견을 제시, 이를 수용하기로 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