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의과대학에 만연한 '족보 문화'를 개선하고자 '문제은행 플랫폼' 구축을 중심으로 한 의대 교육혁신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11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 6일 '의대 교육혁신 지원사업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9일에는 전국 40개 의대에 사업계획을 안내하는 공문을 발송했다.
올해 배정된 예산은 총 540억원 규모로 정원이 크게 늘었던 지역의대 32곳에 차등 배정된다.
각 대학은 제출한 사업계획서 평가 결과에 따라 S등급(6곳)에 30억원, A등급(10곳)에 17억원, B등급(16곳)에 10억원씩 배분받게 된다. 올해 정원이 늘지 않은 서울 소재 8개 의대에는 30억원이 일괄 배정된다
이번 지원사업 핵심 과제로는 ‘문제은행 플랫폼 구축’이 포함됐다. 각 대학이 개별적으로 시험문제를 출제하는 대신, 공동 플랫폼에서 문제를 추출해 시험에 활용하는 방식이다.
교육부는 특히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가 주도하는 문제은행 DB 구축과 공유 교육과정 플랫폼 사업에 각 대학의 적극적 참여를 권고했다. 이를 통해 특정 대학 과거 기출문제에 의존하지 않아도 학습이 가능토록 하겠다는 취지다.
이 같은 조치는 사실상 의대에 오랜 기간 뿌리내린 '족보 의존형 학습'을 해체하기 위한 수단으로 풀이된다.
의대생 사이에서는 족보가 시험 성적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선후배 관계나 동아리 활동을 통해 족보를 공유하는 문화가 암묵적으로 유지돼 왔다. 일부 학생들은 이런 족보 공유에서 소외될 것을 걱정해 복귀를 주저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교육부는 이달 중 각 대학이 제출할 사업계획서 양식과 접수 일정 등을 다시 공지하고, 7월 말까지 평가위원회를 통해 예산 배분을 완료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