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를 노동자가 아닌 수련자로 바라봐야 한다"
박용범 대한의학회 수련교육이사 "가칭 '수련교육원' 도입 시급"
2025.06.13 12:42 댓글쓰기



대한의학회가 6월 13일 서울성모병원 플렌티컨벤션에서 '2025 대한의학회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구교윤 기자

박용범 대한의학회 수련교육이사가 전공의 수련교육 체계적 운영을 위해 ‘전공의 수련교육원(가칭)’ 설립을 제안했다.


박 이사는 13일 오전 서울 플렌티컨벤션에서 열린 ‘2025 대한의학회 학술대회’에서 "의료계가 전공의를 노동자가 아닌 수련자로 바라봐야 한다"며 "양질의 전공의 수련교육을 위해 기획, 개발, 평가, 인증을 수행하는 상설 조직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훌륭한 전문의를 양성하기 위한 졸업후 의학교육(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체계를 수립하기 위해 수련교육 인프라를 구축하는 일은 더 이상 미뤄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박 이사는 "그동안 대한의학회와 26개 전문과목학회는 전문의 양성을 위한 수련프로그램을 개발해왔고 우리나라 GME 교육 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초석을 마련해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의정 사태를 계기로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과 수련교육 규정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졌다"며 "질 높은 수련교육을 제공하고 수준 높은 GME 시스템을 확립하는 것은 시대적 요구"라고 말했다.


"의대 졸업 후 의학교육 인프라 구축 더 이상 미뤄선 안돼…상설화된 체계 절실"


실제 그에 따르면 미국(ACGME), 영국(GMC), 캐나다(RCPSC)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이 같은 역할을 담당하는 전문기구를 운영하고 있다.


박 이사는 전공의 수련교육원 주요 기능으로 ▲전공의 교육과정 연구 및 개발 ▲수련평가 ▲지도전문의 역량 개발 ▲수련기관 평가 및 인증 ▲교육 연수 등을 제시했다.


특히 교육과정에서는 e-Learing 시스템 개발을 언급했다.


박 이사는 "IT 최대 강국인 대한민국 강점을 살려 전국 여러 수련병원에서 근무하는 전공의들이 전문학회에서 제안하는 역량을 더욱 체계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표준화된 전문 역량과 공통 역량이 포함된 e-Learning 시스템은 유용성과 효율성, 접근성 면에서 효과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끝으로 박 이사는 "지금까지 대한의학회와 26개 전문학회 수련교육이사들이 수련교육 운영과 실행을 위해 최선을 다해왔다"며 "교육은 백년대계(百年大計) 성격을 지니는 만큼 기획과 평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양질의 전공의 수련교육을 위해 전문적이고 체계적이며 지속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전공의 수련교육원과 같은 전담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댓글 12
답변 글쓰기
0 / 2000
  • 돈 받자 06.23 17:34
    근로자가 아니고 피교육자면 수업료를 받자!

    싫다면 말고.
  • Kkh 06.15 11:17
    다시는 못돌아오고 발도 못붙이게해야한다 지들이.뭐된줄알고 나대는 의사들은
  • 123 06.13 23:19
    괘심한전공의들다시는못기어오르게. 돌아오는날엔철저히빨아먹고과로사로죽여야의료가산다..!
  • ㅎㅎㅎ 06.13 22:50
    그래서 근로기준법 적용 안해도 된다고?
  • Mmmm 06.13 22:44
    지금도 전문의사 되려면 군대3년까지 14년 걸리는데 도대체 의사 되려면 몇년이 걸리는건지~~~

    여기서 의사들 욕하고 떠드는 사람들이 의사 공부 해서 의사되라~ 본과는 아침9시부터 6시까지 수업이다~수업 끝나고 그날 배운거 예습은 커녕 복습할 시간도 없다~ 수업 끝나고 바로 내려가서 시험보고 올라오고  수업 들어갔다 또 시험보고 올라오고?

    졸업하고도 레지던트 생활 12시간 이상씩 한다?14년동안 하루종일 죽어라 공부만 하는거 한번 해봐라?의사도 아무나 못한다? 일반 대학 생활  하는 애들 음청 부럽다~
  • 고수 06.13 21:44
    맞는 말 처럼 보이나 뭘 주장하는지..

    수련이라는 명분으로 지금껏 해왔던 것에는 반성도 안하고 또 같은 프레임 씌우네.

    근로자로 되어야 그나마 최소한 법적 보호를 받을수 있는것을 알면서 하는 지 모르고 하는지
  • 1111 06.13 21:10
    그럼 학생처럼 학비를 내야지
  • 이주환 06.13 21:00
    근로자 아니니까 신경안써줘도 되겠다
  • 노동자김씨 06.13 20:00
    그러면 돈내고 수련받으면 될 듯
  • 닥터박 06.13 19:49
    그럼 월급을 안받고
  • 2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