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의사들 '기피현상' 심화…주요 학회 고심
의정사태 장기화 등 집행부 참여 '고사' 분위기 확산…"개인시간 할애 부담"
2025.06.25 04:22 댓글쓰기



본격적인 의학계 춘계학술대회 시즌이 도래하면서 각 학회들이 행사 준비에 분주한 가운데 각 학회들마다 임원진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젊은의사들 사이에 학회 활동 참여를 꺼리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회장이나 이사장과 함께 학회를 꾸려 나갈 임원 구하기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스승의 권유나 지목으로 자의반 타의반 학회에 참여하던 풍토는 옛말이 된지 오래고, 학회 집행부가 명예로 여겨지던 시절도 오래된 얘기다.


이러한 상황은 시대가 흘러 일명 ‘MZ세대’들이 학회 임원에 중용될 나이가 되면서 나타나는 자연발생적 현상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1980~2000년대에 태어난 젊은의사들 중 40대에 접어든 이들은 각 대학에서 조교수 등으로 임상과 교육, 연구에 중추를 담당하고 있다.


통상 이들 나이가 되면 학회 집행부 일을 시작했지만 최근에는 선배나 스승의 집행부 참여 권유에 고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강한 독립심과 자유로운 사고로 대변되는 MZ세대 의사들이 개인 시간을 할애해 봉사와 헌신의 마음가짐으로 학회 활동을 하고 싶어하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에 의정사태로 각 대학병원 진료현장이 긴박하게 돌아가면서 젊은의사들에게 학회 참여를 종용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마땅한 핑계거리를 찾지 못해 고민하던 젊은의사들 역시 의정사태를 이유로 학회 활동을 고사하면서 심리적 부담을 덜어내는 모습이다.


그나마 모학회의 경우 회원 세대 층이 두터운 만큼 아직까지는 집행부 구성에 큰 어려움은 없지만 분과학회들의 고심은 점점 심화되는 양상이다.


한 외과 분과학회 회장은 “홍보이사, 교육이사 등 조교수급 회원들이 주로 담당하던 자리 채우기가 날로 힘들어지고 있다”며 “젊은의사들의 학회 참여 기피는 우려스럽다”고 토로했다.


이어 “이들에게는 더 이상 학회 활동이 명예도 아니고 개인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부담스러운 자리로 인식하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는 느낌”이라고 덧붙였다.


일부 학회에서는 젊은의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학회 활동에 어려움으로 작용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기도 한다.


실제 내과계 분과학회 회장은 젊은의사들이 육아와 배우자 반대로 학회 활동에 부담을 느낀다는 면담 결과를 토대로 젊은 임원에 분기별로 치킨과 케잌 쿠폰을 발급하고 있다.


해당 학회 회장은 “결코 근본적인 해소책은 아니겠지만 적어도 학회 차원에서 가정에 성의를 표한다는 의미로 사비를 들여 쿠폰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대학에 남으려 하지도 않는 젊은의사들에게 학회 참여 권유는 더더욱 힘들다”며 “학회 활동에 자부심을 느끼던 시절을 생각하면 정말 격세지감”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일각에서는 달라진 도제식 교육의 단상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스승 권위나 위상이 절대적이었던 예전에는 학회 활동 역시 연장선에 놓여 있어 당연스레 받아들였지만 지금은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는 분석이다.


한 대학병원 시니어 교수는 “속된 표현으로 ‘가방모찌’라는 단어가 통용되던 시대는 끝났다”며 “사제지간은 물론 선후배 관계 모두 달라진 시대상에 순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학회들도 이제 집행부 구성에 보다 열린 사고로 전환해야 한다”며 “젊은세대들의 학회 활동 독려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고심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18
답변 글쓰기
0 / 2000
  • 양심선언 07.04 17:57
    의사.

    단지 명문대 타이틀이나 돈이 목적이라면,

    그 자리는 당신들 자리가 아닙니다.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일이라면, 진심으로 환자를 위하는 마음이 먼저여야 합니다.
  • 지나가는국민 07.04 17:56
    강남 초등학교에 의대진학반이 있다는 것이 사실인가요?
  • ㅇㅇ 06.26 17:23
    쓸데없는 친목질, 의미도 없는 숫자장난 논문, 틀딱들 잡일 대행ㅋㅋㅋ 안해요 안해
  • 국민 06.26 13:51
    고위공직자, 부유층 자녀를 위해 만들었던 의학전문대학원을 통해 나온 의사들은 전문의나 연구 절대로 안한다. 그냥 편히 돈버는 피부, 성형기술자가 목표다.
  • 개원의 06.26 11:08
    MZ가 문제가 아니라 교수들과 학회를 구성하는 회장단 및 임원이 제일 문제지... 의정 사태 겪으면서 대학 교수들이 과연 무엇을 희생하였는가???
  • ㅅㅅㅅ 06.26 11:30
    개원의도 페닥도 전혀 희생한게 없지요... 교수들은 제살길 찾아 그만두고 서울상경 했고요...



    그리고 이 글은 학회 집행부 맡을 주니어 스탭이 없다는거가 포인트잖아요ㅋㅋㅋ 주니어 스탭이 학회 참여해서 시간채우기 강의해도 세전 30 50만원씩 밖에 안주는데 그거 준비하랴 쏟는 시간 생각하면 핵손해에요ㅋㅋㅋ 뭐가 문제인지 아직도 모르고 앉아있네...



    집행부 하고 강의해도 시간만 쓰고 돈도 안되는데 그걸 커버칠만큼 돈 많이주고 종소세 안뜯어가면 다들 하려고 하겠지 이상한데서 해법찾고 이걸 교수욕을 쳐하고 앉아있네ㅋㅋㅋㅋㅋㅋ
  • 방이선생 06.26 03:49
    현명한 이기심의 시대가 된다. 건강한 부자 평안한 천국 방이선생
  • Dd 06.26 00:13
    병신세대가 맞긴해 ㅋㅋ
  • 06.25 18:36
    학회가 명예라고요? 모두가 그런건 아니지만 그  더러운 인간들과 품앗이 하면서 하하호호 떠드는게요? 그리고 학회를 기피하는게 아니라 학문을 추구하는게 아니라 그냥 의미 없어보이는 곳을 기피하는거죠 내 지식을 나누고 토론할 상대는 외국에서 찾고
  • ㅋㅋㅋ 06.25 17:07
    학회에 젊은 의사를 참여시킬 방안은 고민해봤나 싶다. 얻어갈게 없으면 mz가 아니라 노의들도 안나오지.
  • 2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