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되면서 꿉꿉한 더위와 불쾌지수가 높아지는 가운데, 실내 냉방 사용이 늘면서 냉방병에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고온다습한 날씨와 반복되는 실내외 온도 차이는 면역력을 떨어뜨리고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어, 장마철 건강관리에 각별한 신경을 써야 한다.
냉방병은 실내외의 큰 온도 차로 인해 우리 몸의 자율신경계가 제대로 적응하지 못해 발생하며 피로, 두통, 소화기 불편감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누구나 쉽게 걸릴 수 있다. 하지만 실내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자주 환기하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냉방병의 주요 증상은 감기와 비슷하다. 두통, 피로, 코와 목의 건조함, 어지럼증, 졸림, 소화불량, 설사, 복통 등이며 호흡기 증상인 인후통, 콧물, 기침이 동반되기도 한다. 또 실내외 온도 차에 따른 말초혈관 수축으로 손·발이 붓는 등의 증상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사람이나 천식, 알레르기, 만성 편두통 등의 기저질환자에게는 냉방병 증상이 더욱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여성은 남성보다 냉방병에 더 취약한 편으로, 생리통이 심해지거나 생리 주기가 불규칙해지는 경우도 있다.
냉방병의 또 다른 원인 중 하나는 레지오넬라증이다.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에어컨 냉각수에 서식하는 레지오넬라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독감이나 폐렴과 유사한 증상을 보인다. 냉방병 증상이 오래 지속되거나 심할 경우 감염 여부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냉방병은 대부분 특별한 치료 없이도 충분한 휴식과 함께 에어컨 사용을 줄이면 호전된다. 다만 예방을 위해서는 실내 온도를 22~26℃로 유지하고, 실내외 온도차가 5℃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에어컨 바람이 몸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고, 24시간마다 창문을 열어 환기하는 습관도 필요하다. 또한 실내 습도를 50~60%로 유지하고, 에어컨 필터는 자주 청소하고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세균 번식을 막을 수 있다. 얇은 카디건이나 무릎담요 등으로 체온을 보호하는 것도 좋은 예방법이다.
장마철에는 실내 활동이 많아지고 냉방기 사용 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어 꾸준한 운동, 충분한 수면, 스트레스 관리 등 기본적인 생활 습관을 유지하면서 무리 없는 선에서 산책이나 스트레칭을 병행하면 냉방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