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화 기반 마련 최선”
백종수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원장
2019.10.28 06:00 댓글쓰기
[편집자주] 지자체마다 첨단 의료기기 산업 클러스터 유치를 위해 열을 올리고 있다.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는 1998년 의료기기 창업보육센터로 출발해 올해로 21주년을 맞이했다. 지역 산업 육성과 국내 의료기기 업체들의 시장 개척을 지원하고 있으며 매해 강원의료기기전시회를 개최, 해외 바이어 초빙 및 비즈니스 매칭 등을 진행 중이다. 데일리메디가 최근 백종수 원장을 만나 국내 의료기기 산업에 있어 지역 클러스터의 역할에 대해 들어봤다.
Q. 최근 끝난 강원의료기기전시회의 초청바이어 및 상담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강원의료기기전시회에는 국내 의료기기 및 헬스케어 제조기업 82개사(강원도 기업 54개사, 강원외 28개사)와 유관기관 3개사등 총 85개사가 121부스 규모로 참가했으며 초청된 해외 각국의 진성 바이어 41개국 130개사 187명으로 지난해 47개국 127개사 165명 대비 증가한 수치라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성장 비결은 여러 유관기관의 협력이다. 강원도·원주시가 공동 주최하고 (재)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강원지원단, 한국산업단지공단 강원지역본부 등이 함께 참여 중이다. 또한 매년 참가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다. 올해도 기업들의 의견을 반영해 1:1 비즈니스 매칭 수출상담회를 개최했다.
 
Q. 올해 전시회가 예년과 비해 갖는 차이점은
 
진단용기기, 재활치료기, 피부미용기, 수술관련기기 및 장비 등 다양한 품목에 대한 전시진행과 함께, 특히 올해는 2019 GTI 국제무역·투자박람회와 연계했다.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 및 병원 관계자 방문유치를 통한 실질적인 성과 창출뿐만 아니라 일반시민도 함께 할 수 있는 의료기기전시회, 지역의 축제로 만들고자 노력했다. 또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연계한 보험등재 맞춤형 컨설팅을 비롯해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내 산하 보훈병원 및 보훈요양원의 공공조달 프로세스 및 공공조달 입찰서류 준비 등에 관한 공공조달 맞춤형 컨설팅 등을 진행해 국내 판로 확대와 보험수가 산정 어려움 해소를 도울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Q. 국내 전시회뿐만 아니라 의료기기테크노밸리 차원에서도 해외 전시회에 활발히 참가하고 있다. 최근 성과는 무엇인가
 
전시회는 기업 홍보뿐만 아니라 세계시장 흐름이나 바이어 발굴 등 마케팅의 주요 수단이 되고 있다. 하지만 세계 유력 전시회는 부스 확보가 매우 어렵다. 원주시는 2010년부터 두바이, 독일, 홍콩, 중국 전시회에 공동관을 조성해 메인홀에 부스위치를 선점하고, 전시성과를 향상시키고 있다. 앞으로 좀 더 다양한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다. 최근 식약처에서 발표한 의료기기 수출수입 통계자료를 봐도 강원도는 우리나라 전국 제조기업의 4% 정도에 불과하지만 전국 수출액의 15%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해외시장에서의 위상도 점차 올라가고 있는 상황이다. 

"강원도, 의료기기 제조기업의 4% 정도지만 전국 수출액 15% 차지"
"산(産)학(學)연(硏) 잇는 허브되도록 노력하겠다"

Q. 원주 테크노밸리와 같은 지역 의료기기 클러스터가 앞으로 어떻게 성장해 나가야 할지 방향성은
 
지역클러스터들이 앞으로 더욱 성장해나가기 위해서는 산업체, 대학, 병원, 지원기관, 공공기관이 서로 협력해 발전하는 모델을 넘어서서 글로벌 트렌드와 패러다임 변화에 빠르게 적응해야 한다고 본다. 전(全) 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와 함께 질병관리 차원에서 예방중심으로 건강패러다임도 변화하는 만큼 의료기기 산업은 향후 대표적인 성장 분야임은 틀림없다. 이제 지역의료기기 클러스터들은 의료기기 산업의 더 큰 발전을 위해 인프라, 기업지원서비스, 보건·의료 공공기관과의 연계 전략을 마련해 지역을 넘어선 국가차원의 산업발전 추진을 위해 노력해야 할 때다.
 
Q. 재임 중 느낀 의료기기업계 어려움은
 
의료기기 분야에서 첨단 기술과의 융복합화가 빨라지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기반의 구축이 미약했다. 훌륭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기업은 많지만 이를 외부와 연결 짓고 구체적인 사업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또 다른 이야기다. 이에 자체적인 역량 외에도 클러스터의 기업과 외부를 잇는 허브(hub)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 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재단에서도 국내·외 바이오·헬스 클러스터 간의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정부 부처와 대학, 병원과의 협력 체계를 보다 적극적으로 구축하는 데 노력 중이다.
또한 새로운 의료기기 개발에 적합하지 않은 국내 규제환경, 국산 기기에 대한 신뢰 부족과 해외 시장 개척의 어려움, 이 두 가지가 가장 시급한 현안이라고 생각한다.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통해 사업화가 가로막히는 일이 없도록 업체들을 지원하고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해외유력전시회 공동관 구축 확대, 해외 현지화를 통한 수출확대 등도 함께할 방침이다.
 
Q. 향후 의료기기테크노밸리의 발전 방향은
 
대학과 기관 그리고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의료기기 산업을 육성하고 불모지였던 원주와 강원도 산업구조를 바꾸게 됐다. 우리나라 의료기기 산업발전의 모델을 마련하는 계기를 만들었다고 자신한다. 앞으로는 원주시의 특화 발전전략이자 주력산업인 의료기기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공동과제 추진 등을 통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화 기반을 마련할 것이다. 더불어 ▲ 원주시 발전을 위한 기관 간 교류·협력 강화 ▲ 원주 생산 의료기기 제품 구매 확대 ▲ 의료기기 규제 완화 지원 등을 논의하면서 지역의 혁신성장을 이끌어 나가는 데 앞장서겠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