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前단계·임신성 당뇨 환자도 연속혈당측정기 유용'
송영득 엔도내과 원장
2021.05.24 05:12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백성주기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2018년 기준 국내 30세 이 상 당뇨병 유병률은 13.8%다. 당 뇨병 전(前) 단계인 공복혈당장애를 포함하면 유병률은 거의 두배 많은 26.9%까지 높아진다. 우리나라 인구 1,000만여 명이 당뇨병 위험에 노출됐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이런 측면에서 환자가 쏠리는 대학병원보다 개원가에서 당뇨 환자들을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정부 정책도 최근 이런 방향으로 설정, 추진되고 있다.

환자 접근성 위해 '전문의원' 개원 당뇨병 명의 교수
 
개원가에서 당뇨 환자를 많이 진료하고 있는 송영득엔도내과 송영득 원장은 “중증 당뇨병은 대형병원에서 협진을 통해 치료받도록 해야 하지만 일반적인 경우는 상황이 다르다. 접근성이 좋아야 하고, 환자들도 자신의 상태에 대해 많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문의원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당뇨와 갑상선 등 내분비계 질환이 늘고 있지만 정작 국내에서 내분비내과 전문의원이 생긴 지는 10년 정도 불과하다.
 
현재 전국적으로 전문의원은 10여 곳에 지나지 않을 정도로 귀하고 평생 진료를 받아야 하는 환자들에게는 오아시스 같은 존재다.
 
송영득 원장은 연세의대 내분비 내과 교수 및 일산병원 당뇨병센터 소장을 역임하면서 수 많은 환자들에게 희망을 건넨 내분비내과 전문의로 유명하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한 그는 연세의대 내과학교실 내분비내과 부교수, 미국 노스웨스턴 의과대학 내분비내과 방문교수에 이어 건보공단 일산병원에서 환자를 돌봤다. 당뇨 환자를 계속 돌보고 싶다는 생각에 5년 전 개원을 결심, 고양시 일산에 자리를 잡았다.
 
정년 이후 개원하게 되면 아무래도 활동 반경이 줄어들 수 밖에 없다는 생각에 좀 일찍 개원을 했다.

송 원장은 “국내 의료환경이 많이 바뀌었다. 10여년 전만 해도 생소하게 여겨졌던 내분비내과에 대해 환자들이 잘 알고 찾고 있다. 전문검사는 외주를 통해 환자의 정확한 상태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환자 입장에서도 당뇨병을 전문으로 하는 의원이 있다는 점은 큰 혜택이다. 불필요하게 자주 의사를 만날 필요는 없지만 당뇨병은 돌발상황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내분비내과 주치의사가 있다는 사실은 환자에게 큰 위안과 힘이 된다. 
당뇨병은 5년 이상 경과하면 환자 상태 악화되는 사례 증가 
 
수십년간 동일한 약제로 관리 가 능한 고혈압과 달리 당뇨병은 5년 이상 경과하게 되면 상태가 악화되는 사례가 많아진다. 사용되는 약제 용량도 커지고, 보다 나은 효과를 찾아 약물을 변경할 수 밖에 없다.
 
특히 고혈당이 지속될 경우에는 망막병증을 비롯해 신기능장애, 신경병증 등의 합병증이 생기기 쉽다. 여기에 심혈관 질환 위험도 높아지기 때문에 평소 적극적인 혈당 관리가 필수적이다.
 
그는 “내분비 전문의원은 지방의 필수의료 개념 차원이 아니라 인구 밀도에 비례해서 필요하다. 환자들이 원할 때 자신을 가장 잘 아는 의사를 만날 수 있다는 것은 가장 큰 장점”이라고 강조했다. 
 
송영득 원장은 진료 외에도 그 동안의 경험을 토대로 외부강연도 적극 펼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대면 활동은 줄었지만 여전히 그를 찾는 환자들이 적지 않다. 
 
또 최근엔 혈당측정, 합병증 검사, 일상생활, 발관리, 식단표, 열량표, 운동 요령, 약제 종류, 주사법, 민간요법 및 건강식품 등 당뇨병 관리에 필요한 모든 것을 알기 쉽게 정리한 ‘당뇨병 백과’ 를 집필, 발간했다. 

“스마트폰 연계 연속혈당측정, 당뇨 합병증 방지할 수 있어 비용보다 이익 크다” 
 
최근 당뇨병 환자들의 최대 관심사는 혈당을 측정해 스마트폰으로 제공해 주는 연속혈당측정기(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CGM)다. 이를 통해 환자들은 기존에 불편했던 손가락 채혈 없이 실시간으로 혈당을 확인할 수 있다. 
 
지난 5월 10일 공개된 미국당 뇨병학회(ADA)의 2021년 당뇨병 진료지침(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21)’에선 CGM 역할과 중요성이 강조됐다. 
 
ADA는 나이 또는 당뇨병 유형과 관계없이 다회 인슐린 주사요 법 또는 인슐린펌프를 사용하는 환자에게 CGM 사용을 적극 권고했다. 
 
일본의 경우에는 CGM 사용이 보편화됐다. 2020년 4월부터는 모든 1형과 2형 당뇨병 인슐린 환자를 대상으로 보험이 적용되 면서 사용이 더욱 늘었다.
 
우리나라 역시 당뇨병 환자 관리에 CGM 사용이 늘어날 전망이다.
 
국내서는 작년 1월부터 제 1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건강보험이 적용되기 시작했으며, 12월 1일부로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 개정안이 시행, 종전보다 더 적은 비용으로 CGM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송영득 원장은 오히려 2형 당뇨병 환자에 있어 CGM의 높은 활용도를 강조했다. 이들 환자는 혈당이 수시로 변하는 예측불허인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그는 “1형 당뇨병환자는 CGM을 착용한 후 자기 혈당이 전반적으로 어떻게 변화되는지 추이를 알수 있다. 어떤 음식을 먹었을 때 올라가고, 어느 시점에 저혈당이 오는지 안다는 것은 환자들에 있어 불안감 해소에 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국내 당뇨병 환자 대다수를 차지하는 2형에 있어서 활용도 역시 1형 못지 않게 효율성이 높다. 이들 환자에서도 식사 관리 등 스스로 조절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질환 악화를 사전에 막을 수 있다. 
 
이밖에 당뇨병 전(前) 단계인 내 당능장애에 있어서도 생활 패턴을 조절, 질환으로 발전되는 사례를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CGM 필요성이 높아지는 추세다.
 
또 임신성 당뇨에서도 특정기간 이 제품 사용을 통해 상태를 점검 받을 수 있다. 
 
송영득 원장은 “내당능장애 대부분은 대형병원 외래 진료 한번으로 관리가 끝난다. 당뇨병을 사전에 막기 위해 상담과 관리가 필요하지만 국내 의료체계에선 이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일부에선 비용 부담을 얘기하지만 의료진이 CGM 사용을 권고하는 대다수 환자는 이익이 더 크다. 당뇨병 합병증과 이에 따른 많은 치료비, 수명 단축을 사전에 방지한다는 점에서 환자들에게 반드시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