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성 평가 한계, 당뇨·고혈압부터 '환자 건강 성과' 반영'
심평원 의뢰 보사硏 수행, '평가 병원 방문 환자 '건강 변화' 추적해서 공유'
2022.02.26 07:01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한해진 기자] 행정 데이터 기반의 적정성 평가가 한계에 달했다는 지적이 높아지는 가운데, 환자중심 평가를 위해 만성질환 위주의 '건강 성과 평가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돼 앞으로 추이가 주목된다.
 
적정성 평가에 참여한 의료기관에서 진료받은 환자들 의료데이터를 추적 관찰해서 실제 건강 개선이 있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환자와 의료기관이 공유한다는 것이다.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인구집단 코호트에 기반한 환자중심 평가모형 개발 연구를 수행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행정 데이터 기반 적정성 평가는 한계에 이르렀으며 평가를 위한 데이터의 질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고 밝혔다.
 
보사연 연구팀은 "지난 20년간 적정성 평가가 급성, 만성, 요양, 완화의료 등으로 범위가 확대됐고 환자경험평가까지 도입됐지만 이런 활동이 국민의 건강 성과 향상에 기여했는지에 대한 검토가 충분치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가치 기반 의료 확산으로 환자 건강 성과를 높이는 새로운 적정성 평가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다"며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환자 중심성을 제고하기 위한 적정성 평가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제안된 개선안이 환자 '건강 성과'를 평가에 반영하는 것이다.
우선 연구팀은 당뇨병과 고혈압을 중심으로 건강 성과 분석을 시도했다.
 
당뇨의 경우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기반으로 약 7만명의 연구대상자를 선정하고, 이 가운데 적정성평가 결과가 생성된 의원을 주이용기관으로 이용한 환자 5만6000여 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추렸다.
 
이들을 분석한 결과, 지속적으로 적정성 평가 양호기관을 이용하지 않은 환자가 이용한 환자에 비해 입원율이 높았다. 또 처방 지속성, 치료 지속성 등도 적정성평가가 좋은 의료기관에 가는 환자 결과가 더 좋았다.
 
고혈압은 약 16만4000여명의 환자를 분석했는데, 당뇨 환자와 같이 적정성 평가 양호기관을 이용한 환자의 입원율이 더 낮았고 치료 지속성 등 관리도 잘 되고 있었다.
 
환자 추적관리를 보다 정교하게 다듬어야 하고 구체적 측정 틀을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이후에는 이 같은 건강 성과 분석을 고혈압과 당뇨뿐만 아니라 COPD, 천식 등 만성질환 전반에 활용하자는 것이 연구팀 제안이다.
 
또한 결과를 환자와 의료기관에도 공유하고, 건강성과 양호 기관에 추가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환자 친화적인 의료 질 평가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당뇨병과 고혈압 환자 분석에서 지속적 관리를 받은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더 좋은 건강 성과를 보였다”며 “이는 적정성 평가에서 과정 지표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근거이며 의료 질 관리가 환자의 건강 성과에 유익하다는 결과로 홍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적정성 평가의 유용성이 환자에게 좀 더 와닿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는 설명이다.
 
우선 단기적으로는 당뇨, 고혈압 환자 코호트를 활용한 적정 관리의 건강성과 분석 결과를 공유해 의료공급자의 질 향상 활동의 근거를 제공하고, 환자에게도 정보에 기반한 의사결정을 하도록 지원하자는 제안이다.
 
연구팀은 “만성질환자에 대한 적정 관리의 건강 성과 평가는 환자가 진료실에서 의사와 공동으로 결정을 할 수 있는 근거 정보로서 영향을 줄 것”이라며 “환자-의료공급자-심평원 간 신뢰 기반의 참여 확대를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