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조절 장애, 원인 정확히 파악 중요'
강승걸 교수(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2021.02.05 19:46 댓글쓰기
최근 정부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5인 이상 집합을 금지하는 등 코로나19로 인해 외부 활동이 제약되고, 재택근무가 늘면서 우울감인 ‘코로나 블루’를 넘어서 우울증 단계인 ‘코로나 블랙’을 호소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더해 불쑥 화가 치밀거나, 폭력적인 상황에 쉽게 놓인다면 ‘분노조절 장애’를 의심해볼 수 있다. ‘분노조절 장애’는 하나의 질환이나 병명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분노조절 문제는 다양한 원인에 기인하는 만큼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에서 해결점을 찾아야 한다. 

실제로 외래에서 환자 자신이나 가족이 우발적으로 화를 내거나 폭력을 행사했던 일을 이야기하며, 이것이 ‘분노조절 장애인가?’라고 질문하는 경우가 적잖다. 그런 측면에서 분노조절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분노’는 본능적 감정이 순간적인 말 또는 행동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이런 분노를 통제하지 못하는 분노조절 문제는 다양한 원인에 기인한다. 

대표적으로 ▲과도한 스트레스에 장기 노출 ▲마음속 억눌린 화 누적 ▲성장과정 중 정신적 외상 ▲낮은 자존감이나 열등감 ▲무시당한다는 생각 ▲특권의식이나 피해의식 ▲뇌의 감정조절 기능 저하 ▲폭력에 대한 처벌이 약한 사회나 문화적 환경 등이다. 

원인이 다양한 만큼 분노조절 장애는 한 가지 병으로 명명하거나 설명할 수 없는데 분노조절 문제를 증상으로 하는 정신질환은 여러 가지다. 

보통 분노조절을 어렵게 만드는 질환으로는 ‘파괴적 기분조절 곤란 장애’와 ‘양극성장애’, ‘반사회성 인격장애’와 ‘경계성 인격장애’, ‘알콜사용 장애’ 등이 있다. 하지만 이 어떤 질환도 분노조절 장애와 동일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분노조절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언급된 요인들 중 원인을 알아내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 

최근 언론에서 많이 다뤄지는 소위 ‘묻지 마 범죄’, 대기업 총수가 부하 직원에게 욕설과 폭행을 하는 사건 등은 공격성과 분노조절 문제가 혼재된 ‘분노조절 장애’가 원인이다. 앞서 제시된 개인적 특성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분노와 충동 원인을 스스로 파악해 교정해야 한다.

◆ 표현 방법 개선하고 인내로 교정해야

분노조절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표현법을 개선하고, 격렬한 감정이 치밀 때는 잠시 참으며 유연한 사고를 갖는 게 중요하다. 

분노조절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우선 스스로의 감정을 정확히 느끼고 보다 세련되고 적절한 표현을 하도록 훈련해야 한다. 분노조절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화를 내는 이유를 잘 알지 못하거나 적절히 설명하지 못한다. 

예를 들면 자신이 평소 질투하거나 싫어하는 사람을 다른 사람이 칭찬했을 때 갑자기 화를 내고 소리를 지르기도 한다. 

이 같은 언행은 처음 ‘상대방이 나를 놀려서’ 화가 났다고 생각될 수 있으나, 사실은 자신이 싫어하는 사람을 칭찬하니 열등감과 질투심이 느껴져서 화가 난 것이다. 이처럼 스스로의 감정을 정확하게 간파했다면 아마 화를 내지는 않았을 것이다.

분노가 치미는 순간에 1~2분 참고 견딜 수 없으면 상황을 피하는 것도 분노조절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좋은 방법이다. 

화는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가라앉는데 화가 날 경우 마음속으로 1부터 100까지 세어보자. 그럼에도 화가 가라앉지 않는다면 일단 그 상황을 정리하거나 피하는 것이 낫다. 

누군가와 언쟁을 계속하게 되면 서로의 감정을 더욱 악화시키고 분노에 기름을 붓는 상황이 된다. 이럴 때는 ‘그만 이야기합시다’ 또는 ‘나중에 다시 이야기하죠’라고 말하고 그 상황을 빠져나온다. 

자주 분노를 느끼는 사람들은 독선적이거나 일방적 성격인 경우가 많은데 때로는 ‘이건 이래야 한다’라는 편협한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세상 사람들은 많은 상황과 저마다의 입장이 있다. 분노조절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보다 유연한 사고방식, 상대의 입장이 돼 보는 역지사지(易地思之) 태도가 필요하다. 또한 불만스럽거나 힘든 상황에서도 유머로 상황을 대응하는 것도 매우 좋은 방법이다.

분노조절 문제를 안고 있다면 본인은 느끼지 못하지만 가족들과 주변사람들은 고통 속에 살고 있을 수 있다. 

나 자신의 특성이나 성격이라고 생각했던 분노가 의외로 정신질환과 관련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변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면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고려해야 한다. 항우울제나 기분조절제 등의 약물로 효과적으로 개선되는 경우를 자주 본다.

화는 시간이 지나면 약해지니, 화가 나면 말과 행동을 참아보자. 화가 날 때 말과 행동을 참기가 어렵다면 지체 말고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한다.


관련기사
댓글 1
답변 글쓰기
0 / 2000
  • 이승제 05.19 10:49
    도움이 됬습니다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