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출생아 20년간 반토막 넘어 '3분의 1' 수준 급감
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 위기 현실, 전공의 지원자도 외면
2021.12.16 15:20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신용수 기자] 서울시 연간 출생아 수가 근래 20년 동안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이로 인해 의료계에서는 특히 산부인과와 소아청소년과가 지금이라도 수가 현실화 등을 통해 안정된 의료환경이 조성되지 않으면 진료과 자체 붕괴와 함께 출산율 저하를 촉진하는 원인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서울시는 통계청 인구동향 조사를 이용해 지난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인구동향을 분석했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시 내 결혼 건수는 4만4746건으로 최근 20년 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2000년 7만8745건보다 43.2% 감소, 20년간 거의 절반 수준으로 하락한 것이다.
 
출생아 수는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2020년 서울 출생아 수는 4만7445명으로 전년보다 11.6% 줄었다. 2000년 13만3154명과 비교하면 무려 8만5709명(64.3%) 감소했다. 사실상 신생아 수가 20년 만에 반토막을 넘어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진 셈이다.
 
출산율도 2000년 1.28명에서 지난해 0.64명으로 20년간 절반이나 감소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아이를 둘 이상 낳는 비중은 36.4%로 2000년 47.6% 대비 11.2% 줄었고, 첫째 아이 출산까지 결혼 기간 평균은 지난해 2.6년으로 10년 전보다 0.6년 늘었다. 결혼 감소에 출산 기피 현상이 더해진 심각한 상황이다.
 
출생아 감소는 특히 향후 산부인과와 소아청소년과 등 출생아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분과의 환경 악화를 가속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우려를 사고 있다. 
 
환경 악화에 대한 불안감은 올해 전공의 모집에서도 두드러졌다. 전공의들 사이에서도 산부인과와 소아청소년과에 대한 기피 현상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데일리메디가 87개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올해 산부인과 전공의 모집인원 53개 기관 156명 중 98명만이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명도 지원하지 않은 병원 수만 18개에 이르렀다.
 
소아청소년과는 더욱 상황이 나빴다. 56개 기관 195명 정원 중 48명만이 지원해 경쟁률이 0.25에 그쳤다. 정원을 한 명이라도 받는 데 성공한 병원이 56개 기관 중 17개에 그쳤다.
 
산부인과 및 소아청소년과 의료계는 수가 현실화를 비롯한 현실적 대책이 없다면, 이 같은 경향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진단했다. 
 
김동석 직선제 산부인과의사회 회장은 “수가 현실화가 급선무”라며 “너무 낮은 수가에 다인실 의무화 등이 겹치면서 산부인과 개원의 환경은 열악하기 이를 데 없다. 지방뿐만 아니라 서울에서도 의원급이 아닌 병원급마저 문을 닫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안성의 경우에는 관내 유일한 분만병원이 내년 문을 닫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어 “수가를 올린다고 하더라도 현재 건보공단에서 많은 부분을 산모에게 지원하는 만큼 산모들의 부담은 거의 올라가지 않는다”며 “이외에도 산부인과 특성상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는 의료사고에 대한 진료 안정성 보장 등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홍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이사장은 “수가가 높지 않은 소청과는 많은 환자를 보는 방식으로 병원이 유지되고 있었다”며 “다른 과에 비해 출생아 수로 인한 환자 감소로 받는 충격이 더욱 크다. 여기에 코로나19로 병원 방문 환자수가 급감하면서 최근 몇 년간 문제가 급속도로 심각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가 현실화는 기본”이라며 “단순한 행위 수가뿐만 아니라 진료 체계 자체의 전환이 필요하다. 소아청소년과의 경우 특히 상담과 중재가 중요하다. 시간을 투자해 문진하고 환자와 부모의 상황을 면밀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지금 그렇게 하면 병원은 살아남을 수가 없다. 이 부분에 대한 현실화가 없다면, 소아청소년과의 위기는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