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병원 '골머리'···환자안전 전담인력 이직 '급증'
각종 평가 준비 등 서류작업 부담 가중, “전산시스템 의무화 필요”
2018.12.15 06:23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항상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 서류작업에 지쳤습니다. 환자가 아닌 서류와 씨름하다 보니 직업에 염증을 느껴 사직을 결심했어요.”

경기도 A병원 간호사는 최근 사직서를 제출했다. 병동에서 근무하던 그는 지난 해부터 환자안전 전담으로 배치됐고, 이후 쏟아지는 서류정리 작업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았다.  

부산 B병원에서 감염관리 담당자로 근무하던 간호사 역시 서류 더미에서 벗어나 간호사 본연의 업무를 찾아 최근 다른 병원으로 이직했다.
 
이 처럼 최근 중소병원의 환자안전 전담인력과 감염관리 담당자 등이 과도한 행정업무를 호소하며 이직을 선택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병원계에 따르면 최근 몇 년새 중소병원의 환자안전 및 감염관리 전담인력 이직률이 급증하는 추세다. 과도한 업무량이 이직의 결정적인 이유다.
 
환자안전과 감염관리 관련 각종 사건사고가 잇따르면서 이러한 현상은 이미 예견돼 있었다는 지적이다.
 
실제 최근 올해 병원계의 화두는 단연 환자안전감염관리였다. 잇단 사건사고로 이 두 영역은 유래없던 주목을 받았다.
 
관심은 곧 규제로 이어졌다. 각종 평가에 필수 항목으로 자리잡으면서 환자안전과 감염관리에 대한 일선 병원들의 부담은 커져만 갔다.
 
실제 7000억원 규모의 의료질평가에 포함된 것은 물론 각종 적정성평가와 의료기관평가인증에도 환자안전과 감염관리 항목이 신설되거나 대폭 강화됐다.
 
물론 규제에 따른 보상도 동반됐다. 전에 없던 환자안전관리료가 신설됐고, 감염관리료 대상과 범위도 확대됐다. 인센티브를 통한 유도기전인 셈이다.
 
병원들 입장에서는 자의든 타의든 환자안전과 감염관리 영역에 신경을 쓸 수 밖에 없는 처지가 됐다. 일단은 제시된 기준을 충족시키는 게 우선이었다.
 
입원환자 1일 당 1750~2720원의 환자안전관리료를 받기 위해서는 환자안전위원회를 설치하고, 전담인력을 배치해야 했다.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은 2, 100~500병상 종합병원은 1, 2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도 1명의 전담인력을 두도록 했다.
 
감염예방관리료 역시 전담간호사를 분기별 평균 병상 수 대비 150:1 이하로 채용해야 한다. 전담 간호사는 감염관리실 근무경력 3년 이상의 경력을 갖춰야 한다.
 
물론 1, 2등급 밖에 없던 감염관리료 산정기준에 내년부터 3등급이 신설됐지만 병원급 의료기관의 경우 감염관리실 근무경력이 1년 이상인 전담 간호사를 무조건 1명 이상 배치해야 한다.
 
하지만 전담 간호사들은 살인적인 업무량을 호소한다. 다수의 전담인력이 배치되는 대형병원과 달리 혼자서 모든 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중소병원 전담 간호사들이 문제다.
 
뿐만 아니라 대형병원의 경우 비교적 전산시스템이 잘 갖춰진 만큼 업무처리도 한결 수월한데 비해 아직 종이서류를 전산으로 입력해야 하는 중소병원 실무자들의 고충은 상당하다는 지적이다.
 
한 중소병원 환자안전 전담 간호사는 평가 하나를 끝내면 곧이어 다른 평가를 준비해야 한다“1명의 전담인력이 모든 서류작업을 감당하다 보니 스트레스가 상당하다고 토로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각종 평가에서 환자안전이나 감염관리 전자 시스템 도입 의무화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또 다른 중소병원 감염관리 담당자는 규모가 작은 병원들의 경우 수작업으로 처리하려다 보니 업무 부담이 훨씬 크다평가기준에 전자 시스템 가동을 포함시키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