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치료 중 약물 부작용을 알리는 문제를 두고 암환자 및 가족과 전문의 간 큰 의견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암병원 암건강증진센터 신동욱 교수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박종혁 교수는 이같은 연구결과를 저명 국제학술지인 ‘정신 종양학(psycho-oncology)誌’ 최신호에 공개했다.
이들은 지난 2012년 국내 13개 의료기관의 암환자와 가족 725쌍, 암전문의 134명을 대상으로 ‘의사가 암 치료 중 약물 부작용을 어느 수준까지 환자에게 알리는 게 좋을지’를 각각 물었다.
그 결과, 환자들은 치료약물의 부작용이 경미한 경우 83.7%, 심각한 경우 87%가 '본인에게 알려야 한다'고 답했다.
환자들은 증상조절약물의 부작용이 경미한 경우 82.1%, 심각한 경우 86.3%가 본인에게 알려야 한다고 밝혔다.
환자의 가족들도 동일한 질문에 대해 치료약물의 경우 각각 77.5%, 81%를, 증상조절약물 역시 각각 75.9%, 81.5%가 모두 환자에게 알려야 한다고 전했다.
반면, 암전문의들은 치료약물의 부작용이 경미한 경우 23.9%만이 환자에게 알려야 한다고 답했고 심각한 경우에도 이 비율은 70.2%에 그쳤다.
증상조절약물도 이 비율은 각각 20.2%와 60.5%로 나타나, 환자와 가족에 비해 매우 낮았다.
약물 부작용을 알리는 방법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환자와 가족은 '1000명 중 10명'과 같이 정확하고 구체적인 수치로 알리는 것을 가장 선호했지만 암전문의는 “있을 수 있다”처럼 가능성 정도만 알리는 것을 가장 원했다.
또 환자(41.8%)와 가족(48%)에 비해 암전문의(73.1%)는 책자, 영상 등 교육 자료를 통해 알리는 것을 크게 선호하는 특징을 보였다.
설명간호사를 통해 알리는 방법에 대해서도 환자(51.3%)와 가족(52.6%)은 암전문의(85.1%)와 의견 차이를 보였다.
신동욱 교수는 “환자와 가족이 교육 자료나 설명간호사의 설명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경향을 보이는 것은 본인의 상태를 잘 아는 담당의사와의 쌍방향 의사소통을 원하기 때문” 이라고 분석했다.
박종혁 교수는 “환자와 가족이 적정 수준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부작용 설명을 위한 충분한 진료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또 상담 서비스 인력을 양성해 각 지역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