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바이오 우대정책, 한국 제약사 악재 아니다"
김형수 한화 애널리스트 "국내 생산·수출 바이오의약품 영향 제한적"
2022.09.14 12:18 댓글쓰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미국산 바이오의약품 우대정책이 국내업체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번 정책이 해외 수입 제품에 대한 제제보다는 미국 내 생산 제품에 대한 보조금 지급 등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14일 한화투자증권 김형수 애널리스트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분석보고서를 내놨다.


백악관은 12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지속 가능하고 안전하며 안심할 수 있는 미국 바이오 경제를 위한 생명공학·바이오 제조 혁신 증진을 위한 행정명령’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별도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행정명령은 중요 화학 물질과 의약품 성분 등 원료를 미국 내에서 생산해 접근성을 높이는 것으로 정의했다.


김 애널리스트는 "이번 조치는 인도, 중국의 원료의약품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투자 지원으로 이어질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2021년 기준으로 미국의 원료의약품(API) 등록 현황을 국가별로 보면, 인도 48%, 유럽 22%, 중국 13%, 미국 10%, 기타 7%로 해외에서 수입해야 하는 품목이 90%에 달하고 있다. 


품목수가 아닌 실제 등록 및 생산비중으로 보면 2000년부터 2021년까지 미국(15%→4%), 유럽(49%→7%)은 감소했으며, 인도(20%→62%), 중국(4%→23%)은 크게 증가했다. 


김 애널리스트는 "96%의 원료의약품을 수입해 의약품을 생산하기 때문에 미국내 생산시스템 구축을 위한 지원정책이 발표될 것으로 전망되며, 국내 생산 바이오의약품의 리스크는 제한적"이라고 예측했다.


국내업체의 주로 생산하고 수출하는 바이오의약품은 바이오시밀러가 대세로 자리잡고, 해외 제약사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을 통해 일부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김 애널리스트는 "바이오시밀러는 고가의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 대신 가격경쟁력이 핵심인 의약품으로 만약 제제의 대상이 된다면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으로 의약품 가격인하를 추구하는 정부방향과 대치되는 조치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해외 수입 제품에 대한 제제보다는 미국내 생산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보조금 지급, 세금 감면 등의 방안으로 현지생산의 유인정책을 내놓는 것이 현실적이라는 판단이다.


그는 "연구, 개발을 이미 미국에서 마친 의약품을 위탁 생산하는 것은 미국회사의 매출로 이어진다"며 "다만, 미국에서 CMO 경쟁업체들의 등장으로 수주물량이 감소할 수 있으나 의약품 생산지 변경은 까다로운 절차와 오랜 시간 소요되어 리스크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백악관은 14일(현지시간) 회의를 개최하고 해외아웃소싱을 국내 생산으로 변경하기 위한 세부 투자방안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 날 발표 내용에 따라 국내업체에 미치는 영향도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