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진료 등 디지털 전환, 악순환 고리 끊을 수 있다'
의료·산업계 '대한민국은 기술 발전 대비 정책 속도 너무 더디다' 지적
2022.05.07 05:01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신용수 기자] 의료계와 디지털 헬스케어 업계가 비대면 진료 문제점으로 ‘정체’를 지목했다. 급격히 발전하는 기술 대비 정책이 따라오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그나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속도가 빨라졌지만, 여기에도 아쉬움은 존재한다는 견해다.

 
김광준 세브란스병원 노년내과 교수는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주관한 ‘제1차 2022 비대면 의료서비스 적용 전략 포럼’에서 “그동안 우리는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때워왔다. 예를 들어 전공의가 없으면 교수로 대체한다는 등이다. 하지만 이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디지털로의 전환이 이 같은 악순환을 깰 열쇠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예를 들어 현재 수술실에서는 인공지능(AI) 음성인식 솔루션을 통한 진료기록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인력 부족을 기술의 힘으로 메우는 것”이라며 “그러나 우리나라는 그동안 의료 디지털화가 더뎠다. 그나마 코로나19라도 없었다면 아직도 제대로 된 원격의료 관련 데이터가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미국의 경우 비대면 진료 서비스가 점차 경질환에서 중질환까지 넘어가는 추세다. 원격의료와 대면진료가 거의 동급으로 인정받고 있다”며 “심지어 우리나라에서도 미국 현지 지인을 통해 비급여로라도 원격진료를 받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디지털 트윈, 클라우드, AI, 메타버스 등을 통한 경계 없는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책을 바라보는 업계 비판은 더욱 날이 서 있었다.

최준민 유비케어 상무는 “그동안 비대면 진료, 디지털 헬스케어, 원격의료 등 이름만 바뀌었을 뿐 관련된 논의는 하루, 이틀 일이 아니었다”며 “20년 전에도 해외 사례를 예로 들면서 디지털 헬스케어 도입을 논의헀는데, 지금도 해외 사례를 예로 들면서 도입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도 비대면 진료를 놓고 수가 정립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고 있는데, 20년 전에도 수가 정립이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왔다”며 “수많은 연구과제와 시범사업이 있었다. 하지만 그동안 달라진 점이 없다. 사업에 실체적인 내용이 부재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최 상무는 우리나라 원격진료 도입이 늦어지는 또 다른 이유로 ‘전략의 아쉬움’을 꼽았다. 

그는 “우리가 보통 해외로 예를 드는 미국이나 중국 등의 경우 원격의료가 접근성 측면에서 필요한 지역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일부 도서 지역을 제외하면 의료 접근성이 우수한 축에 속한다. 결국 임상적 효과성이 부합해야 하는데 그동안 정책을 수립하는 데 이런 고민들이 많이 이뤄졌는지는 업계 입장에서 솔직히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코로나19로 시범적으로 도입한 비대면 진료 또한 대면 진료의 프로세스를 제대로 이해하고 만든 것인지 의문”이라며 “현재 논의되고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는 ‘앙금 없는 찐빵’이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앙금은 당연히 의료진이다. 앞으로의 비대면 진료는 의료진이 참여하고 그들이 불편해하는 부분을 기술적으로 해결해 줄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의료계와 산업계가 비대면 의료에 대한 더 깊이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권고한 가운데, 유관기관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측도 동의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김종엽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서비스혁신단 책임연구원은 이날 패널 토론에서 “(비대면 의료 도입에) 그동안 미흡했던 부분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며 “그래도 코로나19 이후 원격의료에 대한 사용자 경험이 늘면서 당위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됐다. 비대면 의료 도입을 위해 어떤 부분을 준비해야 할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비대면 의료가 대면 진료에 준하는 기술성을 얼마나 가졌는지 구체적 검토와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 왔다”며 “비대면 의료를 제공했을 때 얼마나 더 깊이 있으며 의료제공자와 환자에게 어떤 가치를 제시할 수 있는가를 고민해야 한다. 비대면 의료서비스 모형을 구축하는 데 의료진을 중심으로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