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한해진 기자] 최근 첨단기술을 도입한 치매 검사 및 다양한 비약물 치료 수단이 개발되고 있는 가운데 학계에서는 효과성 입증에는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인구 증가로 치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부도 국가적 치매 관리사업에 시동을 걸면서 첨단기술을 접목한 치매 진단 및 치료법이 점차 다변화되고 있다.
혈액 한 방울로 치매를 진단할 수 있는 체외진단키트나 뇌 MRI 빅데이터를 활용한 치매 뇌지도 등은 이미 국내 의료기기업체 및 연구기관에서도 구체적 단계까지 개발 중에 있다.
최근에는 드라마 시청으로 인지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도 등장했다. 삼성서울병원 및 전북대병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 함께 개발한 해당 기술은 뇌과학에 기반 한 시나리오를 대상자에게 보여주고 나타나는 반응을 통해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진단을 할 수 있다.
이밖에 영국에서는 목 초음파 검사를 통해 인지기능 저하를 예측할 수 있는 초기 지표를 개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등 치매 조기 진단에 대한 관심은 세계적으로 늘고 있다.
이와 관련, 정부도 국정과제인 치매국가책임제를 뒷받침하는 차원에서 국가 치매연구개발 중장기 추진전략을 마련했다.
치매 조기진단 바이오마커 개발을 비롯해 ▲빅데이터 기반 위험군 관리 기술 ▲줄기세포 치료제 및 항체치료제 개발로 2030년까지 치매 발병 연령을 평균 5년 늦추고 환자 증가 속도를 50%까지 줄인다는 목표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아직까지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최근 대한신경과학회 김종성 회장은 “치매는 조기에 발견할수록 치료가 쉽기 때문에 학계에서도 조기 진단법의 발전에 대해 관심을 두고 있지만 검사법이 늘어날수록 전문가의 조언을 바탕으로 신중한 선택을 해야 한다”며 “과잉 검사로 소모되는 비용이 너무 크다면 이 또한 문제”라고 지적한 바 있다.
치매질환 자체에 대한 경각심 및 예방을 위한 관리를 제외하고 진단과 치료에만 초점이 맞춰질 수 있다는 우려다.
또 다른 신경과 관련 학회 관계자는 “치매는 조기에 발견할수록 관리가 쉽기 때문에 학계에서도 이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긴 하지만 현재 쏟아져 나오고 있는 새로운 방식의 진단들이 주도적으로 논의되고 있지는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치료법 또한 약물과 병행되는 인지재활 등 기존 방식을 체계화시키는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첨단기술 연계를 통해 개발되고 있는 치료법까지 큰 관심을 두고 있지는 않은 것 같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 무단전재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