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고재우 기자] 문재인 정부가 역점사업으로 추진 중인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부족함 없이 수행하기 위해서는 방문약료서비스가 ‘제도화’ 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장기요양서비스의 패러다임이 기존 시설 중심에서 지역기반서비스 체제로 이행되고, 고령화·질병구조의 변화로 다제약물복용·의료비용 급증 등 문제가 예상됨에 따라 방문약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는 평가다.
서동철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교수는 15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커뮤니티케어 성공을 위한 약사의 역할과 보건의료분야 협력방안’ 세미나에서 이 같이 주장했다.
우선 방문약료서비스의 대두는 급속한 고령화로 인한 만성·복합질환자의 증가와 다제약물요법 및 의료비용 급증, 의사 처방행위에 대한 점검의 필요성 등에 기인한다.
이에 따라 커뮤니티케어 팀의 일원으로서 환자의 가정에 방문해 약료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서 교수는 “재가환자 혹은 시설 입소자의 복약관리에 하고, 커뮤니티케어에 참여하는 주치의·방문간호사·돌봄전담직원 등과 제휴를 통해 의사소통 강화 및 상호 이해 증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복약상황 점검으로 남는 약·중복약·불필요한 약의 발생을 방지해 약제비를 절감하고, 환자의 복약순응도 향상 및 부작용 감소로 질환의 합병증·부작용 등으로 인한 의료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방문약료서비스를 추진하는 선진국의 사례도 들었다. 일본은 ‘사회보장제도개혁 국민회의보고서’에서 장기간의 관리 및 의료관리 등을 필요로 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지역 기반 가정 방문 복약지도 등 재택의료를 제공토록 했다.
구체적인 재택 복약 지원은 ▲처방전을 통한 의사의 방문 지시 ▲방문 초기 계획 수립 ▲환자 방문 및 재택 복약 지원 서비스 시행 ▲지시 의사 및 관리 담당자에게 방문 결과 및 차기 계획 보고 등으로 이뤄졌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ICT를 활용한 정보 공유, 약료방문 수가를 결정하기 위한 경제성평가 및 정책개발의 필요성을 역설하기도 했다.
서 교수는 “엄격한 보안관리 하에 지역의료정보 연계 및 환자정보 공유에 약국이 참여해 복약상담 제공과 의약품 사용을 관리하고, 지역사회 감염성 질환·약물부작용 감시에 약사가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커뮤니티케어에서 약사 방문약료서비스를 제도화하고, 약료방문 수가를 결정하기 위한 경제성 평가 및 정책개발에 나서야한다”고 덧붙였다.
지금까지 수행한 약사방문약료서비스의 시범사업 확대와 함께 시범사업 결과를 평가해 약사서비스 가치를 반영하는 약사서비스 표준 모형 제시도 제언했다.
복지부 “다양한 직종 간 논의 필요”
이에 대해 복지부는 직종 간 논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모델을 만들어 줄 것을 요청했다.
임강섭 복지부 커뮤니티케어추진 팀장은 “우리나라에서 일정 기간 동안 약물 처방을 받은 개수가 46개까지 확인된 가운데 약물 간 충돌관리도 중요하다”며 “빅데이터로 어떻게 관리할지 논의 중에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방문약료서비스 주장에 대해서는 뚜렷한 입장을 내놓는 대신 다양한 직종 간 논의가 필요하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피력하고,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모델을 만들어 줄 것을 당부했다.
그는 “의사, 간호사, 약사, 사회복지사 등 직종별로 주장하는 바가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직종이 모여서 논의해야한다”며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모델을 만들어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