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한해진 기자] 서울대학교병원이 국립대병원 중심의 공공의료시스템 발전을 견인하기 위해서는 교육부에서 보건복지부로 소속을 이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건세 위원장 "국립대 중심 공공의료시스템 발전 위해 서울대병원 교육부→복지부로 이관해야"
지난 11일 보라매병원에서 개최된 제10회 공공의료 심포지엄에서 커뮤니티케어 전문위원회 이건세 위원장은 “모든 국립대병원이 모여서 ‘공공의료시스템을 다시 한 번 제대로 만들어 보자’고 한다면, 서울대병원이 그때는 교육부에 있으면 안 된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건복지부로의 이전을 다시 한 번 고려해보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는 심포지엄에서 강연을 맡은 김연수 서울대병원장의 발언을 두고 언급한 것이다.
김연수 원장
[사진]은 이날 강연에서 “앞으로 서울대병원 역할은 진료뿐만 아니라 교육·연구·공공의료·의료정책 등 총 5가지 분야에 집중하는 모습으로 발전할 것”이라며 “국립대병원은 교육과 연구에 집중해야 하며 수익을 위해 제2, 제3병원을 세우는 모습이 돼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의료정책 수립시 서울대병원 교수들 참여 높이는 방안 필요"
공공의료시스템 정비와 발전을 위한 고민에 보다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김 원장은 “보건복지부 소속이 아닌 교육부 소속이라 다행이라는 생각도 든다. 복지부 소속이었다면 국립대병원을 유지하지 못했을 것”이라며 “서울대병원은 의료기관이기 이전에 교육기관이라고 생각한다. 의료인 양성 등 서울대병원을 포함한 국립대병원들만이 할 수 있는 역할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내부에서 매주 빅4 병원의 신규 환자수 추이를 나에게 보고하는 것도 하지 말라고 했다. 빅5라는 타이틀에 묶이고 싶지 않다. 우리가 몸 키우기에 뛰어들기 시작하면 다른 병원들도 무한 경쟁에 시달릴 것”이라며 “돈 많은 시어머니에게 가기보다 돈 없는 친정에 남고 싶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최근 ‘우리나라는 환자와 의사, 병원 모두 각자도생하고 있다’는 김윤 교수 주장에 공감을 표했다. 환자들은 환자대로 ‘어떤 병원이 잘 보나’ 여기저기 물어서 ‘줄’을 대야 하고, 의사는 의사대로 자신을 홍보해야 한다”며 “이제는 환자를 중심에 놓고 협력하는 의료시스템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이건세 위원장이 “거시적인 공공의료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복지부 소속이 돼야 하지 않겠느냐”고 주장한 것이다.
이와 함께 이 위원장은 “공공의료를 위해서는 필수의료, 즉 응급·외상·중환자·분만 등 특정 분야에 대한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어야 하는데 서울대병원의 현 상황은 어린이병원만 부각되고 있는 것 같다”며 “특수센터 건립 등을 통해 다른 질병 분야도 새롭게 강화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의료정책 수립을 위한 전문가 논의를 시작할 때 서울대병원 교수들의 참여가 너무 적다. 진료도 중요하지만 정책 방향을 설정할 때 적극적으로 참여해 줬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특정 질환을 전문으로 하는 센터 건립에 관해 김연수 원장은 “현재 서울대병원에 권역응급의료센터가 있는데, 10분 거리의 고대안암병원에도 권역응급의료센터가 있다. 이런 상황이니 우리 병원의 권역응급의료센터를 보면 국민들 의료 행태가 그대로 드러난다”며 “과연 응급의료센터를 찾을 만한 환자들인지 회의가 들 때가 많다”고 밝혔다. 무조건적인 센터 신설이 능사는 아니라는 것이다.
그는 이어 “서울대병원에는 권역응급의료센터보다 권역중증응급센터가 있어야 한다. 각 센터의 역할 설정이 중요할 것 같다”고 강조했다.
"싱가포르 벤치마킹 서울시 커뮤니티병원 추진"
이날 주제 발표를 한 김병관 보라매병원장[사진]은 "공공의료의 3차병원 역할 수행을 위해 싱가포르 의료전달체계를 벤치마킹한 '서울시 커뮤니티병원(Community hospital)'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원장은 "우리나라 국민들의 경우 1차병원 의료 질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급성기 치료 후 1차병원으로의 전원이 원활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싱가포르 커뮤니티병원은 아급성기 재활을 전담하는 의료기관으로, 급성기 병원이 이를 함께 운영하고 있어 환자 관리가 체계화되고 있다”며 "급성기병원과 1차병원 간 가교역할을 할 커뮤니티병원 운영을 통해 원활한 전원과 유기적인 진료 연계가 가능한 모델을 제안하고 싶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공공의료는 값싼 의료가 아니다. 환자들은 무상이라고 해서 좋아하지 않는다. 효과적인 진료를 원한다"라며 "양질의, 적정진료를 통해 임상적으로 필요한 공공의료사업을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