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백성주 기자]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대응 체계를 ‘피해 최소화’에 중심을 두는 방향으로 변경한다.
현재 입원 중심의 코로나19 치료체계를 중증도에 맞는 치료체계로 변화시키도록 지침을 개정한다. ▲한정된 의료자원 ▲의료인 감염 및 피로도 누적 ▲입원 필요치 않는 환자 다수 발생 등이 이유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정례브리핑에서 “지역사회 감염이 확산하기 시작하는 단계에서 피해 최소화를 위한 전략의 전환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금껏 정부는 코로나19의 국내 유입과 지역 내 확산을 막는 ‘봉쇄 정책’과 환자 치료를 강화하는 ‘피해 최소화 전략’을 병행해 왔다.
이날 발표한 피해 최소화 전략의 주요 내용은 환자를 중증도별로 분류해, 맞춤형 치료를 받게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대응지침을 7번째로 개정, 오늘(2일)부터 시행에 들어간다.
경증 환자는 생활치료센터에서 지내며 증상을 관리하고, 증상이 악화하면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게 된다. 중증 환자의 경우 감염병전담병원과 국가지정입원병상에서 바로 치료 받는다.
정 본부장은 “코로나19 환자의 80%는 경증으로 완치가 가능하지만 고령자, 기저질환자는 중증으로 가거나 사망할 수 있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전략 수립 배경을 설명했다.
코로나19 국내 사망자는 총 22명이 됐다.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병상이 부족해 고령에 지병을 앓는 환자가 입원 치료를 받지 못하고 사망하는 사례가 연이어 나오고 있다.
정 본부장은 “(감염병) 유행 초기 외국에서 유입을 차단하는 검역과 격리조치 위주 전략을 쓰지만, 어느 정도 지역사회 감염이 발생하면 피해 최소화에 대한 전략으로 전환이 기본방향”이라며 “이 같은 계획을 가지고 있었고, 준비해 왔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중증환자 타지역 전원시 지자체 협의절차 생략
보건당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증환자를 타지역에 이송할 때 시·도와 협의 절차를 생략하고 전원을 결정하기로 했다.
특히 국립중앙의료원 전원지원상황실을 중심으로 타지역 의료기관과 협조체계를 만들게 된다. 시기를 놓치지 않고 중증환자를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정기현 국립중앙의료원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국립중앙의료원 재난응급상황실을 전원지원상황실로 전환한다. 중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병원을 빠르고 적절하게 이송하는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이 같은 조치는 대구지역 병상부족 상황을 신속하게 해결하지 않으면 자칫 사망자가 많이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대구에서는 입원 대기 중 사망한 환자가 이미 5명이나 된다. 치료를 위해 입원했다가 상태가 악화해도 상급병원으로 전원되지 못한 환자들이 잇따르고 있다.
정 원장은 “중환자를 치료 가능한 병원에 연결하고 병실을 확보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중증 환자 수, 타지역 병실 상황, 이송 자체의 안전성 등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개발해 적용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지역 내 환자 전원에 노력하되 타지역으로 이송해야 할 경우 전원지원상황실에서 전체 의료기관 상황을 파악, 해당 시·도를 거치지 않고 옮기게 된다. 이는 국공립병원뿐 아니라 민간병원에도 적용하게 된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은 “우선 확진환자에 대해 의료진으로 구성된 시‧도별 환자관리반이 중증도를 신속히 분류하게 될 것”이라며 “의학적 치료가 필요한 중등도 이상의 환자는 빠르게 입원시켜 전문치료를 받게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각 지자체가 중증도에 맞는 양질의 치료체계를 갖추도록 인력과 물자를 적극 지원하고, 무증상 또는 경증환자를 위한 생활치료센터 및 병상을 확충해 나갈 계획”이라며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