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김지수 교수팀이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어지럼증 원인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
어지럼증은 간과하기 쉽지만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만성화되거나 심각한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특히 중요하다.
하지만 어지럼증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 질환이 매우 다양한 탓에 많은 환자들은 여러 진료과를 전전하면서도 명확한 원인을 찾지 못하고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연구팀은 어지럼증 원인 질환과 나이, 성별 등의 인구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연구는 2003년부터 2019년까지 약 16년 동안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에서 어지럼증으로 진료 받은 2만1166명의 대규모 환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됐다.
분석 결과 어지럼증을 일으킬 수 있는 가장 흔한 원인 질환은 ‘이석증’이라고 불리는 양성돌발체위현훈(24.2%)이었다.
이어 심리어지럼(20.8%), 뇌졸중 등의 뇌혈관질환에 의한 어지럼(12.9%), 편두통성어지럼(10.2%), 메니에르병(7.2%), 전정신경염(5.4%)의 순으로 확인됐다.
이 중 양성돌발체위현훈과 심리어지럼으로 인한 어지럼증이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주요 원인 질환임을 도출할 수 있었다.
다만, 원인 질환을 세부적으로 비교할 경우 차이가 있었다.
어지럼증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연령대는 50대 이상이었으며, 19세 미만에서는 편두통성어지럼(35%), 65세 이상 노년층에서는 양성돌발체위현훈(28.2%)이 가장 흔한 원인이었다.
또한 남성에 비해 여성이 두 배 가량 많았고, 특히 편두통성어지럼은 무려 81%의 환자가 여성이었다.
더불어 이번 연구에서는 통계청 인구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약 30년 후의 어지럼증 환자 수를 추정했다.
2019년 기준 약 200만 명의 어지럼증 환자가 2050년에는 40% 이상 증가해 약 289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으며, 이는 인구 10만 명 당 약 6057명의 환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의미다.
김지수 교수는 “이번 연구가 다가오는 초고령화 사회에서 우리가 준비해야 할 사회적 제도 및 의료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임상신경학 분야의 국제학술지인 ‘신경학저널(Journal of Neurology, IF=4.204)’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 무단전재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