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 국내 심근경색 환자들의
‘심장재활
’ 치료 참여율이 상당히 낮다는 결과가 나왔다
.
전국적으로 심장재활 치료나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병원 역시 부족한 상황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추가적인 의료기관 확보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김원석 교수팀은 국내 최초로 심근경색 후 심장재활의 전국적 이용현황을 국제학술지 JKMS(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발표했다.
심근경색이나 심부전 등의 심장질환 환자는 언제 어디서든 재발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고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한 심장재활 치료가 필수다.
심장재활은 심장질환의 빠른 회복뿐만 아니라 재발 및 사망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어 국내외 가이드라인에서도 강력하게 권고되고 있는 사항이다.
우리나라 역시 지난 2017년 2월부터 심장재활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화가 시행되면서 심장재활 프로그램이 계속해 활성화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심장질환 환자들이 심장재활 치료를 얼마나 받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 할 수 있는 전국적 자료는 부재한 실정이었다.
이에 연구팀은 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이용해 급성심근경색으로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심근경색 이후 심장재활 이용현황 및 심장재활 이용 방해인자에 대해 분석했다.
심장재활은 심근경색으로 입원한 날로 부터 6개월 이내에 퇴원 후 외래에서 ‘심장재활 치료’ 또는 ‘심장재활 평가’ 수가가 청구된 경우를 기준으로 했다.
분석 결과 심근경색 환자의 심장재활 참여율은 불과 1.5%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10~16%)이나 유럽(30~50%) 국가들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심장재활 제공 의료기관은 전국에 상급종합병원 15곳, 종합병원 11곳으로 총 26곳 밖에 되지 않았으며, 광역시‧도 별로 구분하면 서울(7)과 경기도(5)에 12곳으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그 밖에 지역은 대부분 한 두 곳 정도의 의료기관에서 심장재활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됐다.
김원석 교수는 “환자들의 심장재활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병원을 추가적으로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 곳에서 한해 약 250명의 환자에게 심장재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전국적으로 230여개의 심장재활 제공 의료기관이 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한 비교적 심장재활을 활발하게 운영하고 있는 병원이라 하더라도 실제 환자들의 심장재활 참여율은 10% 밖에 되지 않았다.
전국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의 심장재활 프로그램 참여율 역시 32% 수준에 머물렀다. 고령, 여성, 군 단위 지역 소도시에 거주하는 환자들의 경우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김원석 교수는 “심장재활 급여화 이후에도 이용하는 환자가 매우 적다는 사실을 확인한 만큼 지역사회 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 무단전재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