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고재우 기자] 정부가 바이오 소재·부품·장비 국산화율 제고를 위해 5년 간 857억원을 투입한다.
또 별도의 협의체를 구성해 수요와 공급기업의 기술개발협력을 추진하는데, 여기에는 셀트리온·삼성바이오로직스 등 13개 수요기업과 아미코젠·에코니티·제이오텍 등 공급기업 42개사가 참여한다.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는 24일 이 같은 바이오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필터·배지·바이오리액터 등 16개 개발에 향후 5년 간 857억원이 투입된다. 국내 바이오의약품 생산 규모는 2018년 2조2309억원에서 2019년 2조6002억원으로 16.6% 가량 증가했으나, 국산화율은 16.5%에 불과하다.
산업부는 바이오 소부장 국산화를 통해 수요기업의 경우 탄력적이면서 안정적인 원부자재·장비 확보 및 생산 경쟁력을 강화하고, 공급기업 또한 핵심기술 개발 및 트랙레코드 확보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촉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바이오 소부장 연대협력 협의체’도 발족한다.
여기에는 셀트리온·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바이오 소재부품장비 수요기업 13개사와 아미코젠·동신관 유리공업·에코니티·제이오텍 등 공급기업 42개사가 참여하고, 한국바이오협회와 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 지원에 나선다.
협의체 참여 기관들은 공급기업은 수요기업의 요구에 맞는 품목을 개발하고, 수요기업은 실증테스트 및 기술자문 등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협력한다.
산업부 성윤모 장관은 “연대와 협력의 첫 번째 사례로 바이오 소부장 협의체를 발족하게 된 것을 뜻 깊게 생각한다”며 “산업부가 바이오 소부장 연대와 협력의 지원자이자 중재자로서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산업부는 바이오플랜트 압력용기 개방검사 주기를 기존 2년에서 4년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약속했다.
바이오 업계는 “GMP(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시설 특성상 개방검사로 인한 설비 가동 중단 시 정상화까지 최장 40~48일이 소요된다”며 “해당 제도가 생산 수주 시 부담으로 작용한다”고 호소한 바 있다.
이어 “바이오 공정의 압력·온도가 대부분 대기압·실온 수준으로 다른 산업에 비해 위험성이 높지 않고, 압력용기를 안전하게 관리 중인 점을 감안해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성 장관은 내년 상반기 중 바이오 업종에 대해 압력용기 검사주기를 2년에서 4년까지 연장하겠다고 공언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 무단전재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