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민식 기자] “’원격’이라는 단어 때문에 거부감들이 많지만 부정맥의 특성을 고려하면 심전도 측정에 대해서는 다르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
대한부정맥학회 오용석 이사장(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은 최근 데일리메디와 만나 ‘원격의료’라는 카테고리로 묶여버려 부정맥 환자들을 위해 반드시 필요함에도 진척되지 못하고 있는 심전도 모니터링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했다.
특히 대한부정맥학회는 그간 "국내서도 스마트워치의 심전도 측정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실제로 애플의 애플워치, 삼성의 갤럭시워치 등에는 일찌감치 심전도 측정 기능이 탑재돼 있었지만 원격의료의 확대를 우려한 의료계 일각의 우려에 막혀 국내서는 사용할 수 없었다.
올해 들어 변화가 생겼다. 지난 5월 삼성 갤럭시워치의 심전도 측정 기능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은 데 이어 11월에는 애플의 애플워치도 심전도 기능 사용이 가능해진 것이다.
하지만 스마트워치의 심전도 측정 기능이 제대로 활용되기까지는 아직도 어려움이 많다는 것이 오용석 이사장의 설명이다.
"스마트워치 측정 심전도 데이터, 병원서 의무기록 등 활용 불가"
스마트워치로 측정한 심전도 데이터를 병원에서는 의무기록으로 올릴 수 없기 때문이다.
환자들이 병원을 찾지 않고 일상생활을 하는 와중에도 손쉽게 심전도 측정을 할 수 있게 됐지만 정작 병원에서 활용하는데 문제가 있는 셈이다.
이에 대해 오 이사장은 “정부에서는 '스마트워치를 통해 측정된 기록이 실제 스마트워치 소유자의 것인지 장담할 수 없다'며 의무기록으로 인정하는 것에 대해 난색을 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령 실제 스마트워치 소유자가 아니라 기기를 잠깐 빌린 사람의 기록이 측정된 것일 가능성 등이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오용석 이사장은 “굳이 정상인 사람이 다른 사람의 데이터를 갖고 병원을 찾는 경우는 없을 것”이라고 과도한 우려라는 의견을 피력했다.
결국 스마트워치 사용자들은 일상생활 중 심전도 측정에서 부정맥이 발견돼도 병원을 찾으면 다시 검사를 받아야 한다.
문제는 부정맥 특성상 증상이 갑자기 발생했다가 사라진다는 데 있다. 정작 병원을 찾았을 때는 진단이 어려울 수밖에 없는 이유다.
스마트워치 등을 활용한 심전도 측정이 원격의료 본격화를 위한 교두보가 될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 역시 넘어야 할 장애물이다.
오 이사장은 “원격진료는 대면진료와 달리 여러 제약들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부정맥은 그 특성상 환자들이 항상 휴대하고 있는 기기 등을 활용해 심전도를 언제든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 무단전재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