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 포스텍은 신소재공학과 정성준·생명과학과 유주연 교수, 통합과정 강다윤씨 공동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인공 폐 모델을 3D프린팅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잉크젯 바이오 프린팅을 이용해 다종의 인간 폐포 세포주를 포함하고 있는 3차원 폐 모델을 제작했다. 3D프린팅은 환자 맞춤형 조직 제작과 표준화 및 대량 생산도 가능해 기존의 테스트 모델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사람 폐는 생명 활동에 필요한 산소를 받아들이고 부산물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몸 밖으로 내보내기 위해 끊임없이 호흡한다.
몸 속에 들어온 산소는 기도를 거쳐 폐포에 도착하고, 폐포 모세혈관을 통해 혈액이 싣고 온 이산화탄소와 교체된다.
폐포는 얇은 상피 세포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주변의 얇은 모세혈관으로 둘러싸여 속이 빈 포도송이 모양을 하고 있다.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이동하는 폐포막은 ‘상피층-기저막-내피 모세혈관층’으로 된 3층 구조로, 기체의 이동이 쉽도록 매우 얇은 두께로 돼 있다. 이렇게 얇고 복잡한 구조를 가진 폐포를 정확하게 모사하는 데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최초로 드롭온디맨드(drop on demand) 방식의 고정밀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해 폐포 세포를 고해상도로 적층해 약 10㎛ 두께의 3층 폐포 장벽 모델을 재현해 냈다.
드롭온디맨드 잉크젯은 카트리지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초미세 잉크방울을 토출시켜 세포 및 바이오소재를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도포시킬 수 있는 바이오프린팅의 한 방법이다.
이렇게 제작된 모델은 2차원 세포 배양 모델 뿐 아니라 폐포 세포와 하이드로젤을 섞어서 배양한 3차원 비 구조화 모델과 비교했을 때도 높은 모사도를 보였다.
연구팀은 제작된 폐포 장벽 모델이 바이러스 감염도나 항바이러스 반응 측면에서 실제 조직 수준의 생리학적 반응을 유사하게 재현한 것도 규명해냈다.
이 모델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모델로 사용했을 때, 바이러스 자가 증식과 항바이러스 반응이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됐다.
정성준 교수는 “바이오 프린팅을 이용해 세포를 프린팅하고 조직을 제작하고 있지만, 약 10㎛ 두께의 3층 구조를 가진 폐포 장벽을 모사한 것은 세계 최초”라며 “인공 폐포를 바이러스에 감염시켜 생리학적 항바이러스 반응을 관찰한 사례 역시 처음”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이번에 제작된 인공조직은 환자 맞춤형 질병모델 제작 뿐 아니라 대량생산과 품질 관리가 가능해 코로나19를 비롯한 전염성 호흡기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치료 약물 및 백신 유효성 평가용 초기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트 사이언스' 최근호에 게재됐다.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과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기초연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 무단전재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