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백성주 기자] 정부가 오는 2025년까지 약 300만명 규모의 국가암데이터를 구축, 외부에 적극 공유 및 개방에 나선다.
제약사는 여러 공공기관이 보유한 암 관련 데이터가 결합된 가명정보를 온스탑(One-Stop)으로 제공받아 항암제 임상시험 및 연구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 해외에서 수입하는 고가 항암제와 동등한 효과를 갖는 국산 항암제를 개발해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2021년 제1차 국가암관리위원회’를 개최, 향후 5년 간 중점 추진할 암관리 정책의 전망과 과제를 담은 ‘제4차 암관리종합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우선 암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해 이를 전담하는 ’국가암데이터센터‘를 운영한다. 구축된 데이터는 외부에 공유하고 개방한다.
이를 위해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립대학병원 등에서 보유 중인 다양한 암 관련 데이터를 수집·처리해 임상, 공공데이터, 유전체, 영상정보 분야 등 국가 단위의 암데이터를 구축한다.
지역암센터 및 민간 대형병원 등이 보유한 암 임상데이터를 통합해 전체 암 환자의 70% 수준까지 포괄하는 것이 목표다.
여러 공공기관이 보유하는 데이터를 기존 암등록통계와 연계해 암관리정책 수립에 필요한 공공데이터로 생산한다는 업무도 병행한다.
또 10개 암종에 해당하는 약 2000명 이상의 유전체·단백체 정보를 통합하고, 고품질의 암 환자 영상정보(CT, MRI 등)도 구축한다.
이 같은 국가암데이터(K-Cancer DW) 구축사업은 ’국가암데이터센터‘가 전담 수행하게 된다. 센터는 국립암센터 또는 시설, 인력 등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기관 중 1개를 지정할 예정이다.
국가암데이터센터는 암데이터사업에 필요한 여러 데이터를 수집해 결합, 분석 및 개방하는 등 암데이터 전문기관으로 활동하게 된다.
국가 차원으로 구축한 대규모 암데이터는 개인정보 보호 등 안전성을 갖춘 뒤에 적극 공유하고 개방한다.
국가암데이터 개방 포털을 새롭게 구축해 국민들이 필요로 하는 암데이터는 효율적으로 제공한다. 데이터의 물리적‧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등 안전성도 철저히 담보하고 공익적 목적으로만 활용토록 한다.
구축된 국가암데이터를 전국 어디서나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권역별로 암데이터 분석센터를 설치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한다.
복지부는 암환자의 진단 전·후를 포괄하는 전주기적 암 등록 감시체계도 본격적으로 구축에 돌입한다.
다양한 데이터 연계 및 다각적인 조사를 통해 암 감시지표 현행 9개에서 50개로 대폭 확대하고, 기존 암등록자료를 자동 추출하고 수집·관리하는 모형도 개발한다.
암데이터에 기반한 공익적 암 연구도 추진한다. 신종담배, 음주, 식습관 등 변화되는 신규 암발생 위험요인을 평가하고 예방효과를 파악한다.
동시에 30억원을 투입, 국립암센터와 지역암센터, 민간병원 및 제약기업을 연계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항암신약개발성과확산사업도 추진한다.
10개 분야 165종 암 연구지원서비스를 외부에 개방하고, 인공지능·가상현실(VR) 등 첨단기술을 암관리에 활용하는 연구도 본격 추진하게 된다.
대상 분야는 실험동물, 유전체분석, 단백체분석, 생물정보분석, 의학통계분석, 동물분자영상, 유세포분석, 현미경영상, 그래픽지원, 바이오뱅크 등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종합계획으로 암 진단 및 치료효과가 세계적 수준에 도달하도록 빅데이터와 첨단 기술을 적극 활용할 예정”이라며 “균등한 암관리기반을 구축하는 데 정부가 앞장서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