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정연 기자] 국내 입원전담전문의 제도에 대한 해외 학계 관심이 커지고 있다. 입원환자의 의료 질 향상은 물론, 병동 의료진도 효율성 측면에서 좋은 평가를 내놓고 있다.
국내 전문가들은 입원전담전문의 제도가 정착되기 위해선 향후 정책적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23일 의료계에 따르면 장성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최근 미국 입원전담전문의저널 ‘journal of hospital medicine’에 국내 입원전담전문의 제도를 소개하며 이 같은 의견을 피력했다.
장 교수는 “입원전담전문의 제도에 따라 환자는 안전한 의료서비스를 제공받고, 의료기관은 보다 효율적인 입원 환자 관리가 가능해졌다”며 “다만 시스템 초기 단계에 있기 때문에 실행을 지원하기 위한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에 따르면 입원전담전문의 제도는 입원치료에 드는 비용에 적정한 의료서비스를 해소하기 위해 도입됐다.
기존에는 입원환자에 책정된 진료비가 지나치게 낮아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입원전담전문의 제도가 도입된 후 별도의 수가가 책정되면서 의료기관은 입원환자에 집중할 수 있는 의료인프라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입원환자에 대한 별도의 전문과정을 마친 인력(입원전담전문의)이 일선에 투입되면서 의료서비스 자체의 질적 향상도 이뤄졌다.
특히 국내 입원전담전문의 제도는 입원전담전문의 인력이 남용되지 않도록 업무 범위를 입원환자로 한정했다. 전문 인력이 본연의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장 교수는 “한국 입원전담전문의 제도는 우선 해당 직종에 대한 정의를 치밀하게 정했다”며 “고등 교육을 수료한 의료전문가란 개념이 개발됐고 이에 대한 보상시스템이 만들어졌다”고 설명했다.
다만 학계는 제도의 안착화를 위해선 향후 과제도 남아있다고 말한다.
앞서 장 교수는 지난해 열린 국회 토론회에서 ‘수가 등 보상체계 미흡’을 입원전담전문의 제도의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정윤빈 연세대학교 외과학교실 교수 또한 최근 열린 ‘외과계 입원전담전문의 연구회 심포지엄’에서 본사업 고시와 관련된 보완점을 제시했다.
현재 시행되는 운영모델은 의료현장의 다양한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해, 의료기관 종별 특성을 고려한 추가 모델이 필요하다고 그는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 무단전재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