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임수민 기자]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국립중앙의료원 등 공공의료기관 5곳과 연계해 취약계층 2만8000여명을 상대로 응급의료와 심층상담, 복지를 연계한 복지서비스를 지원한다.
서울시는 공공의료기관 5개소(보라매병원, 서울의료원, 국립중앙의료원, 서울적십자병원, 동부병원)에서 운영 중인 ‘서울형 시민공감응급실’을 통해 지난 7년간 다양한 어려움과 고통을 갖고 응급실을 찾은 취약계층 환자 2만8000여명이 사회안전망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했다고 15일 밝혔다. 복지서비스까지 연계한 환자는 1만7455명이다.
‘서울형 시민공감응급실’은 응급실을 찾은 노숙인, 무연고자, 알코올중독자(반복주취자), 정신질환자 등 신체적·경제적·정신적 고통을 겪는 취약계층에게 응급의료부터 심층상담, 복지연계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해주는 사업으로 지난 2014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5개 병원 응급실에 사회복지사가 상주하며 환자 상담과 연계 역할을 총괄하고, 서울시 공공의료기관 5개소에 총7명의 사회복지사가 상주하고 있다.
해당 환자가 응급실에 오면 우선 의료진의 진료를 받고, 이후 사회복지사가 환자를 심층 상담한다. 각기 다른 어려움과 고통에 처한 환자들의 상황을 고려해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연계한다.
예컨대 무연고인 환자는 주민센터에 연계, 말소된 주민등록을 재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노숙인 환자에겐 노숙인센터 등을 연결시켜 의료비 및 사례관리 등을 지원받을 수 있게 돕는 방식이다.
서울시는 "공공의료기관 응급실에 온 취약계층 환자들은 민간의료기관에서 거부당했거나 극한의 상황에 놓인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응급실 내원을 계기로 그동안 정보가 부족하거나 기회가 닿지 않아 이용하지 못했던 복지서비스를 연계 받아 새로운 삶을 찾는 기회를 갖는 경우도 많다"고 설명했다.
시는 그동안 참여한 5개 공공의료기관의 대표사례를 엮어서 사례집 ‘이음’을 발간했다. ‘이음’은 ‘서울형 시민공감응급실’을 통해 취약계층 환자가 퇴원 후에도 지역사회에서 건강하고 안전한 삶을 ‘이어가도록’ 지원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사례집엔 ‘서울형 시민공감응급실’의 대상군 별 지원 현황도 담았다. 응급의료-심층상담-복지연계까지 원스톱 지원을 체계화한 서울형 SBIRT 프로그램(고위험군 선별·개입·지역사회 복지연계 프로그램)의 진행절차 등 운영 전반에 대한 현황 등이 담겼다.
해당 사례집은 서울시 응급의료기관 및 전국 공공의료기관 등에 배포될 예정이다.
박유미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응급실은 다양한 위기 상황의 환자가 의료서비스와 만나는 첫 관문이자 사회안전망 진입을 도울 수 있는 복지서비스 출발점"이라며 “‘이음’ 사례집으로 더 많은 응급의료기관이 참여하고 시민도 쉽게 알아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 무단전재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