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정연 기자] 암이 완치된 환자 4명 중 1명은 직장을 잃었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28일 삼성서울병원은 암교육센터 조주희 교수와 임상역학연구센터 강단비 교수, 삼성융합의과학원 심성근 박사 연구팀은 화순전남대병원과 공동으로 2017년 10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암 생존자 433명을 직접 만나 '암에 대한 편견과 직장 내에서 겪은 차별' 등에 대한 조사를 최근 진행했다고 밝혔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52.2세, 성별은 여성이 45.9%(199명)였다. 전체의 60.1%(259명)가 대학을 졸업했고, 직종은 사무직이 67.6%(292명)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현장 노동자(16.4%, 71명), 서비스 및 영업직(16%, 69명)이 뒤를 이었다.
조사 결과, 암을 앓았다가 극복한 암 생존자의 24%(104명)는 암 진단 후 직장을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20.7%(90명)는 고용주나 동료들로부터 차별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토로했다. 친구나 이웃들이 암 환자인 본인을 외면한다고 생각한 사람도 각각 24.2%와 22.4%였다.
환자 본인이 암에 대한 편견이나 고정관념이 있는 경우 역시 적지 않았다.
의학 기술이 아무리 발전한다고 하더라도 암을 치료할 수 없을 것이라 여긴 환자는21.7%였다. 19.1%는 암이 완치되더라도 예전과 같은 업무를 수행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암 환자는 외모만으로 구분이 가능하다고 한 답변도 13.4%였다.
암에 대한 편견과 고정 관념, 차별은 암 환자의 업무 수행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특히 환자 스스로 암에 대한 고정관념이나 회복할 것이란 믿음이 부족할 때 일자리를 잃기 더욱 쉬웠다.
암을 불치병이라 여기는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일자리를 잃을 위험이 3.1배 더 높았다. 평소 암 환자에 대해 고정 관념을 내비친 환자 역시 일자리를 상실할 위험이 2.1배 높았다. 직장 내에서 차별을 경험한 경우 그렇지 않은 환자들보다 1.98배까지 증가했다.
연구팀은 이런 결과가 나온 데 대해 여전히 암 환자의 일상 회복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조 교수는 "암 환자 삶의 의미, 경제적 손실, 노동 생산성을 고려했을 때 암 환자의 직장 복귀는 매우 중요한 사회적 문제"라며 "암 환자가 치료에 집중하고 치료 후 정상으로 회복하고 재활할 수 있도록 직장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 무단전재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