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고재우 기자] 대한의사협회 산하 의료정책연구소(의정연)이 내놓은 '대선 정책제안서'를 둘러싼 갈등이 봉합되는 모양새다.
이필수 의협 회장 및 임원 등이 문제 제기에 적극적이었던 김동석 대한개원의협의회(대개협) 회장과 대화에 나서면서다. 이에 따라 김 회장 등은 물밑에서 간접적인 방식으로 의료계 의견을 관철시킬 전망이다.
2일 의료계에 따르면 이 회장 및 임원 등은 최근 김 회장과 만나 대선 정책제안서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해당 제안서를 수정하거나 회수하지는 않기로 했다.
김민석 보건복지위원장(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해 대선후보 등에 배포된 정책제안서 자체를 무를 수는 없다는 현실적인 인식에 공감한 셈이다. 대선정책제안서는 약 5000부 가량 배포된 것으로 알려졌다.
대선 정책제안서 관련 갈등에서 의협과 가장 큰 대립각을 세웠던 김 회장이 의협 입장을 수용하면서 갈등은 잦아드는 모습이다.
실제로 김 회장은 의정연이 지난달 17일 개최한 간담회 내용이 보도되기도 전에 본인 명의 입장문을 발표하고 대선 정책제안서 폐기를 주장한 바 있다.
김 회장은 의협이 갈등의 시발점이 된 요양의원, 전문의원, 회복병원, 재택의료 등 주요 용어에 대해 각 캠프에 주장하지 않기로 하고, 김 회장을 비롯한 각과 의사회장들이 대선후보 캠프에 간접적인 방식으로 의견을 전달할 것임을 피력했다.
예를 들어 대선후보 캠프 내 의료계 인사나 보도 등을 통해 간접적인 방식으로 의료 관련 정책에 대해 제안한다는 것이다.
단 김 회장 등의 정책 제안이 대개협 등 단체 명의로 나가지는 않을 전망이다. 의협과 산하단체간 다른 목소리로 비춰질 수 있기 때문이다.
김 회장은 “이 회장을 비롯해 임원 등을 만나서 (대선정책제안서 관련해) 이야기를 했다”며 “가장 큰 문제는 대개협 회장이나 각과 회장조차 제안서를 받아본 적이 없고, 내용 중 생소한 용어들이 포함돼 있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생소한 단어나 명칭 등은 의료법을 바꿔야 하는 문제”라면서도 “이미 배포된 제안서를 회수하거나 새로 만들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의정연 관계자도 “갈등이 확산되는 걸 원치 않는다”며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나아가 김 회장은 간접적인 방식으로 정책 제안을 할 뜻임을 나타내기도 했다. 예를 들어 의료사고특례법 제정 ‘찬성 or 반대’식으로 문의 후 관련 내용을 회원들에게 공개하는 식이다.
김 회장은 “백화점식으로 공약을 나열해봐야 잘 보지도 않을 것”이라며 “각 캠프 내 의료계 인사 등을 통해 제안하고, 언론 등을 통해 간접적인 방식으로 의료계 요구사항에 대한 찬성 or 반대 입장을 확인해 회원들에게 알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 무단전재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