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정연 기자] 한약재를 보다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내에 '한약전담부서'를 신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근 강기윤·이종성·전봉민 국민의힘 의원이 공동주최한 '한약 안전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는 한약재 관리를 위한 식약처 조직개편 방안 논의가 이뤄졌다.
먼저 홍주의 대한한의사협회장은 "최근 의약품용 한약재 안전성을 악의적으로 폄훼하는 일이 있다"며 "한의의료기관이 처방하는 의약품용 한약재는 식약처의 엄격한 품질관리를 받고 있다. 하지만 한약재 수입과 유통, 생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미스런 일들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운을 뗐다.
이어 발표자로 나선 소재진 두원공과대 보건행정학과 교수는 구체적인 식약처 조직 개편안을 소개했다.
먼저 기존 바이오생약국 내 한약정책과를 확대해 '한약품질안전국'으로 신설하는 방안이다. 산하에는 ▲한약정책과 ▲한의약품안전과 ▲한의약품관리과 ▲한의약품유통과 등을 둔다.
이어 기존 바이오생약국 산하 '한약품질기획관'을 신설하는 방법이다. 한약품질기획관 또한 산하 4개 과를 두며, 이밖에 6개 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에도 한약 안전관리과를 설치한다.
소 교수는 “한약제제가 전체 의약품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0%가 넘지만, 식약처 내 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 인원은 9명에 불과하다"며 "한약재 안전관리를 전담하는 전문인력 배치가 시급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선 국내 한약산업 현황을 살피는 시간이 이어졌다. 특히 한의계에선 안전한 한약제제 관리를 위해 식약처의 조직개편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김동수 동신대 한의과대학 교수는 "아직도 국민 일부는 한약재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며 "한의약 산업의 육성·발전 차원에서도 안전한 한약재 관리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를 위해선 식약처 내에 한약관리 전담부서 설치가 추진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준혁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정책팀장은 "현재는 식약처 한약정책과에서 한약의 안전관리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데, 한약 관련 전반적인 정책 및 품질관리 기능이 혼재돼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한약정책과에서는 정책기능이라는 본연의 업무에 전념하는 한편, 한약안전과 관련된 기능은 별도의 과를 신설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견해를 피력했다.
한약재 안전을 위해선 사전 관리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한약산업계를 대표하며 나선 최윤용 으뜸생약 대표는 "기존 '적발 위주'의 사후적인 관리보다는 사전에 불량업자를 잡아내는 사전관리가 이뤄져야 한다"며 "원료 수급이나 규정 변화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관리하는 산·학·연 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에 김주영 보건복지부 한의약산업과장은 "현재 정부의 4차 한의약 육성발전 종합계획을 살펴보면, ▲한약재 유통 모니터링 강화 및 이력추적 시스템 구축 ▲한약 안전사용서비스 근거 구축 ▲한의약 위생안전 조제관리 강화 ▲한약 모니터링 및 평가 지원체계 구축 등이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러한 계획이 이행되면 한약재 안전관리 수준이 높아질 것이고, 중장기적으로 한약산업 경쟁력 확보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호연 식품의약품안전처 한약정책과장은 "한약재 수입규모를 살펴보면, 2015년 대비 2019년 약 20% 증가했다"며 "한약재 관련 산업시장이 확대되는 것을 알고 있으며, 식약처에서도 보다 안전한 한약재 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끝으로 박상표 한국한의약진흥원 경영지원본부장은 "한약재 안전성 강화를 위해서는 정부 역할도 중요하지만 한의약계 내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