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 처우 개선을 위해서라도 전문의 증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최호진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교수는 지난 5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대한신경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신경과 역량 강화를 위한 인력 수급 방안'을 설명하며 전공의 증원 타당성을 역설했다.
신경과는 최근 종합병원에서 전공의가 부족해 진료 인력과 업무 강도 불균형이 심각해지고 있다.
대한신경과학회는 전공의 부족 사태가 장기화하면 신경과 진료 인프라가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며 전공의 증원을 추진하고 있으나 개원가는 신경과 전문의에 대한 낮은 수요 문제부터 풀어 신경과 입지부터 공고히 해야 한다는 이견을 보이고 있다.
다만 이날 최 교수는 "단순히 노동강도 문제가 아닌 객관적인 수치로만 봐도 전문의 수가 부족하다는 점이 확인됐다"며 전문의 증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 교수는 신경과 전공의 증원이 적절한가라는 질문으로 과 내부에서도 입장차가 있다면서도 지난해 학회 통계 자료를 들며 실태를 지적했다.
최 교수에 따르면, 신경과 전문의는 임상 전문과 중 흉부외과를 제외하고 응급의학과와 함께 가장 적다. 문제는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증가 속도가 회복 양상인 반면, 신경과는 여전히 수급난을 겪고 있다.
부족한 인력 만큼 업무 강도 역시 높다. 신경과 전공의 1명당 응급실 진료건수는 1834명으로 가장 많다. 그 중 88.3%가 중증환자로 부담도 큰 실정이다.
최 교수는 "인구 고령화로 신경과 진료영역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공의 부족 문제는 더 심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신경과학회는 응급실 이송 급성 뇌졸중 환자 응급 치료를 위해서라도 대형병원 당 2명의 신경과 전공의가 배정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공의대책특별위원회, '신경과미래전략특임위원회'로 변경
특히 신경과 처우 개선을 위해서라도 전문의 증원이 필요하다는 게 최 교수 주장이다.
최 교수는 "신경과 전문의를 위한 정책과 수가를 개발하기 위해 논의를 하다 보면 모수가 중요한데 인원이 적다 보니, 속된 말로 말빨이 안 선다"고 토로했다.
학회가 추진 중인 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 신경과 전문의를 배치 정책도 적정인력이 뒷받침돼야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다만 최 교수는 무엇보다 "내부 간극을 줄이고 중지를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력 수급을 강조하는 종합병원과 달리 개원가는 전문의 처우 개선을 우선하는 만큼 상생을 위한 발전 방향을 모색해가겠다는 의지다.
최 교수는 "전공의 정원 문제만 다루지 않고 수가 개발을 포함해 회원 권익을 함께 고민하겠다는 취지에서 '전공의대책특별위원회'를 '신경과미래전략특임위원회'로 변경했다"고 말했다.
이어 "수가 개발을 위해서는 여러 단계가 있지만 임원진을 넘어 학회 전체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협력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