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 초진시간이 평균적으로 가장 긴 진료과목은 '정신건강의학과'다.
이어 재활의학과, 성형외과, 마취통증의학과, 산부인과, 신경과, 외과 순으로 확인됐다.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가 최근 발표한 '의사의 진찰시간 현황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 초진 진찰시간은 평균 11.81분, 재진 진찰시간은 평균 6.43분으로 조사됐다.
이번 연구 대상자 수는 4729명으로, 남자(78.4%)가 여성(21.6%)보다 많았고 연령대는 40대가 1684명으로 가장 많았다.
직역별로 보면 봉직의(37.1%), 개원의(28.2%), 교수(13.6%) 순이었다.
이들의 주당 평균 초진 환자 수는 39.7명, 재진 환자 수는 약 125.3명이다. 진찰시간 중 가장 많이 할애하는 부분은 초진, 재진 모두 문진이며 상담 및 교육, 신체검진, 기록 및 처방전 작성 순이다.
초진부터 살펴보면, 여성 의사가 남성 의사에 비해 초진 진찰시간이 약 1.53분 길었으며, 연령은 30대 의사에 비해 50대(약 1.42분), 70대 이상(약 2.38분) 의사들의 진찰시간이 더 길었다.
진료의사 수가 전체 연구대상의 1% 미만인 흉부외과, 방사선종양학과, 병리과, 진단검사의학과, 결핵과, 예방의학과, 핵의학과, 작업환경의학과를 제외한 19개 과목 중 '정신건강의학과'의 진찰시간이 28.85분으로 가장 길었다.
평균보다 진료시간이 긴 진료과목은 재활의학과(약 15.59분), 성형외과(14.82분), 마취통증의학과(13.38분), 산부인과(12.98분), 신경과(12.49분), 외과(12.45분) 순으로 확인됐다.
반면 진찰시간이 가장 낮은 과는 이비인후과(7.64분)였다. 비뇨의학과(9.52분), 내과(9.72분), 정형외과·소아청소년과(9.74분), 안과(9.78분) 순이다.
재진 역시 남성보다는 여성, 30대보다는 50대, 70대 이상 의사의 진찰시간이 높았다. 진료과목별로 보면 정신건강의학과가 11.32분으로 재진 진찰시간이 가장 길었다.
전체 평균보다 긴 진료과목은 마취통증의학과(8.47분), 산부인과(8.21분), 영성의학과(8.17분), 성형외과(8.09분), 응급의학과(8.02분), 재활의학과(7.66분), 외과(6.60분), 재활의학과(7.66분), 외과(6.60분), 가정의학과(6.58분) 순으로 나타났다.
의사의 진료환경이 진찰시간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환자 수가 증가할수록 초·재진 진찰시간이 모두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진료의사가 진찰 중 기록 및 처방전 작성에 시간을 할애하는 것보다 상담 및 교육에 시간을 더 할애할수록 진찰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진의 경우 문진에 시간을 더 할애할수록 진찰시간이 증가했고, 재진의 경우 신체검사에 비중이 더 높을수록 진찰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성이 보였다.
의사 진료 만족도와 소진(burnout)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의사 진찰시간이 증가할수록 진료 만족도가 증가한 반면, 소진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진찰시간 중 상담 및 교육에 더 시간을 할애할수록 진료 만족도가 높아진 반면, 소진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찰시간 증가에 따른 환자 수 감소가 의사 소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장기간 고착된 우리나라 박리다매식 진료문화를 당장 바꾸기는 쉽지 않다.
우봉식 연구소장은 "진찰시간과 관련한 진찰료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단기적으로는 현재 시범사업 중인 심층진찰 시범사업이 잘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을 현실화해야 한다"며 "현행 만성질환관리제 대상 질환을 외과계까지 확대해 일차의료기관의 교육, 상담기능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장기적으로는 투입 시간에 따라 진찰료를 보상하는 제도를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며 "그러나 가장 중요한 문제는 늘어난 진찰시간 만큼에 대해 환자가 충분한 지불 의사가 있고, 의사도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의 적정 수가 보상이 가능하기 위해 정부, 의료계, 국민 모두 공감대 형성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