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신경과 강성훈 교수팀이 알츠하이머병 바이오마커인 아밀로이드 축적이 작은 크기 뇌경색 후 인지기능 저하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뇌경색은 뇌 혈관에 피가 제대로 통하지 않아 뇌조직 일부가 괴사하는 질환으로, 뇌혈관 문제가 발생해 생기는 뇌졸중 질환이다.
빠른 혈관 재개통이 이뤄지지 않으면 뇌세포 손실이 지속적으로 발생, 결국 영구적 후유 장애를 겪게 될 만큼 일상생활의 큰 불편함을 줄 수 있다.
특히 뇌경색 발병 당시 병변이 크거나 인지기능 관련 뇌 영역이 손상된 경우 뇌경색 후 인지기능 저하가 잘 발생한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작은 크기 뇌경색은 위에 언급된 두 위험인자가 없음에도 뇌경색 후 인지기능 저하가 발생해 아직까지 이에 대한 예측인자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연구팀은 ‘베타아밀로이드’ 축적이 작은 크기 뇌경색 후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50세 이상 급성 작은 크기 뇌경색 환자 3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했다.
뇌경색 발생일 이후로 3개월이 지난 시점에 신경심리검사 및 아밀로이드 PET 검사를 시행해 뇌경색 후 인지기능 저하 여부 및 아밀로이드 축적 여부를 확인했다.
1년 후 간이인지기능검사 및 임상치매척도를 시행해 장기간 인지기능 변화 추이 관찰했다.
연구결과 29.7%에서 베타아밀로이드 축적이 확인됐고, 아밀로이드 축적이 확인된 11명 중 7명(63.6%)이 뇌경색 후 인지기능 저하로 진단됐다.
이번 연구를 통해 베타아밀로이드 축적이 뇌경색 후 인지기능 저하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추가적으로 장기적으로도 인지기능 관련 나쁜 예후와 연관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강성훈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알츠하이머병의 바이오마커인 베타아밀로이드 축적이 작은 크기 뇌경색 환자의 인지기능 저하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임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일부 작은 크기 뇌경색 환자에서 베타아밀로이드 항체 약물이 뇌경색 후 인지기능저하를 막는데 활용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더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알츠하이머병 관련 유명 학술지인 ‘Alzheimer’s Research & Therapy’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