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인구 1만명 당 1명이 경계성 인격장애로 진단 및 치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보다 여성 발병률이 높았고 20대 발병이 가장 많았다.
강남세브란스병원은 석정호 교수(정신건강의학과)팀이 최근 국내 경계선 인격장애 유병률 및 임상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국가 데이터베이스를 기반해 국내 경계선 인격장애 유병률을 다룬 최초 연구로, 해당 연구 결과는 연세의학저널(Yonsei Medical Journal)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지난 2010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DB) 맞춤형 데이터를 활용해 국내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의 유병률과 임상적 특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 경계성 인격장애로 진단된 국내 환자는 2010년 3756명에서 2019년 4538명으로 약 1.2배 증가했다.
남성 환자 유병률은 2010년 0.81명에서 2019년 0.80명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여성 환자 유병률은 2010년 1.12명에서 2019년 1.32명으로 소폭 늘었다.
경계성 인격장애 유병률이 가장 높은 연령층은 20대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이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다는게 석교수팀 설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유병률이 1만명 당 8.71명으로 가장 높았고 대전(6.62명), 대구(5.90명) 순이었다.
석 교수는 "보험청구자료 특성을 고려해도 경계성 성격장애의 낮은 유병률은 임상 현장에서 경계성 인격장애가 매우 낮은 비율로 진단되고 있음을 시사한다"며 "국제적 연구 흐름에 맞춘 진단율 향상과 치료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을 제시하는 연구"라고 말했다.
이어 "경계성 인격장애가 자살 위험성 및 의료적 부담이 큰 질병임을 고려할 때 질환에 대한 인식 개선은 물론 국가적 차원의 제도 개선과 예산 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