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희귀 유전질환 원인 유전자를 새롭게 발굴해 신경발달장애와 관련된 HDAC3 유전자의 변이를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희귀 유전질환 환자들이 겪는 진단 방랑을 줄이고, 보다 정확한 유전자 진단과 치료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신경발달장애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공할 전망이다.
서울대병원 임상유전체의학과 채종희 교수팀은 지난 10년간 서울대어린이병원 희귀질환센터를 방문한 2510명의 환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16일 발표했다.
희귀질환은 개별적으로는 매우 드물지만, 전체 인구의 약 5~6%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질환군이다.
지금까지 6000~7000개의 희귀 유전질환 원인 유전자가 밝혀졌으나, 여전히 많은 유전질환 원인이 미확인 상태로 남아 있어 추가적인 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다.
특히 신경발달장애와 같은 복합 발달질환의 원인 유전자를 발굴하는 것은 환자 진단과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연구팀은 환자와 부모의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HDAC3 유전자에서 2명의 환자에게 신생 돌연변이(de novo 변이) 2가지를 발견했다.
HDAC3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라는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로, 이번 연구를 통해 이 유전자의 변이가 신경발달장애와 관련될 수 있음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연구팀은 국내 2명의 환자 외에도 영국과 미국 연구진과 4명의 추가 환자를 찾아내 최종적으로 6명의 환자에서 HDAC3 유전자에 6가지 신생 돌연변이가 존재함을 확인했다.
이처럼 국내외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희귀한 사례들을 모아 분석함으로써, 연구진은 희귀 유전질환의 정확한 원인을 밝히는 데 중요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러한 돌연변이들이 HDAC3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험관 내 실험, 세포 실험, 단백체 분석 등을 진행했다.
그 결과 이들 돌연변이가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저하(66%), 단백질 복합체 형성 저해(100%), 핵 내로의 이동 저하(75%)를 초래해 신경발달장애 증상을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HDAC3 변이로 발생하는 신경발달장애의 병리학적 매커니즘을 최초로 규명한 중요한 연구로, HDAC3 유전자가 생리적 기능과 질병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채종희 교수는 “발달장애를 초래하는 희귀질환 원인 유전자 규명은 환자와 부모의 진단 방랑을 줄이고, 미래 자녀 계획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가 희귀 유전질환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에 새로운 길을 열어주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이건희 소아암희귀질환 지원 사업, 한국연구재단, 서울의대의 연구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유전학 분야 최고 저널인 ‘미국 인간유전학 저널’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