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를 활용한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가 내년 하반기(예정)부터 본격 제공될 전망이다.
개인건강기록서비스(Personal Health Record, PHR)를 활용해 건강위험을 사전에 관리 및 예방할 수 있는 자가 주도형 건강관리 서비스가 핵심 목표다.
27일 이영희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실장은 전문기자단 간담회에서 "개인건강맞춤 서비스 제공을 위한 앱 개편을 추진 중이며 내년 7월부터 제공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기존 건보공단의 앱인 THE건강 내 건강IN의 기능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추진되는 이번 개편은 ▲맞춤형 건강관리 ▲소통강화 ▲사용자 경험 중심 서비스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PHR은 의료기관에 흩어진 진료·검사 정보와 스마트폰 등으로 수집한 활동량 데이터, 스스로 측정한 체중·혈당 등의 정보를 모두 취합해 사용자 스스로 열람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축한 건강기록 시스템을 뜻한다.
정기석 건보공단 이사장 핵심 사업 기대감↑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는 정기석 건강보험공단 이사장의 핵심 사업 중 하나로 지속적인 고도화를 거쳐왔다.
그만큼 건보공단이 핵심 추진하는 사업으로 서비스 고도화에 대한 내부적인 기대감도 적지 않은 사업이다.
건보공단은 지난 2012년 개인건강기록서비스 사업을 최초로 시작해 수차례 고도화를 거쳐 현재는 인공지능에 기반한 건강예측 서비스와 각종 부가서비스(건강정보, 검진기관 찾기 등)을 제공 중이다.
이영희 실장은 "향후 공단은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기술발전과 의료환경 변화 등에 맞춰 더욱 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이 실장에 따르면 현재 공단의 개인건강기록은 방대한 데이터를 보유했지만, 개인 건강관리를 위한 알고리즘 등의 정리가 이뤄지지 않아 자료의 질에 비해 활용도가 다소 낮다는 판단이다.
해당 영역을 최대한 집중적으로 개선해 국민 스스로가 건강상태를 예측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전을 만들겠다는 의도다.
그는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는 결국 건강검진실이 추구해야 할 방향과도 부합한다는 생각"이라며 "국민 스스로 건강상태를 예측하고 관리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국가건강검진 비용 규모 지속 증가세
이날 건강검진실은 최근 10년간(2014년~2023년) 연도별 국가검진 비용 규모도 공개했다.
2023년 국가검진비용 규모는 2조671억원으로 지난 2014년 1조1066억원에서 매년 1000억원에 가까운 규모씩 성장해 두 배에 가까운 수치에 이르렀다.
이 같은 인상 요인은 연평균 수가 인상률인 2.2% 및 수검률 4.7% 증가와 국가검진 항목신설 등이 주요 요인으로 영향을 미쳤다.
각 연도별 국가건강검진 비용 규모를 살펴보면 ▲2014년 1조1066억원 ▲2015년 1조2416억원 ▲2016년 1조3816억원 ▲2017년 1조4991억원 ▲2018년 1조5575억원 ▲2019년 1조6634억원 ▲2020년 1조6292억원 ▲2021년 1조8270억원 ▲2022년 1조9844억원 ▲2023년 2조671억원을 기록했다.
이와 별도로 현재 건보공단은 민간 종합검진에 대한 과잉 의료를 줄이기 위해 슬기로운 건강검진 권고문을 제안하는 등 의료계의 자정 노력을 촉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실장은 “국가 검진비용은 복지부 고시로 수가를 정해 가격경쟁이 없지만, 비급여인 민간 종합검진은 환자유치의 방법으로 가격할인 등을 이용하고 있다”며 “검진기관간 가격할인 경쟁은 소비자에게 불필요한 의료비를 지출하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민간 종합검진은 비급여로 공단이 관리할 수 있는 법적인 근거는 없는 만큼 검진 서비스의 질향상을 위해 현장점검, 기관평가, 행정처분 등을 진행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그는 “검진기관 평가결과 연속해 미흡 등급을 받는 기관에 대해서는 업무정지 등 행정처분을 통해 지정취소 기전을 마련해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