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개발은 자금조달 없이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예전엔 VC 자금만 바라보고 움직이던 시기가 있었는데, 이젠 PE(사모펀드) 투자 유치는 물론 SI(전략적투자자) 투자 유치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초기 계획부터 체계적이어야 한다.”
우정규 유안타인베스트먼트 이사는 지난 6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주최로 열린 ‘프레스 세미나’에서 ‘신약 개발, 죽음의 계곡 어떻게 건널까’ 주제 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국내 제약사는 파이프라인 한 개 임상에 진입하는 데에만 200억 정도 든다”며 “특히 글로벌 제약사 신약 개발 성공 기준인 1조원 가량의 기회비용을 한국 기업이 감당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1조 정도 투자하면 글로벌 신약이 나오는 것이 확실하다는 것도 아니다”면서 “1조가 있으면 내가 신약 하나 만드는 가능성, 그리고 신약이 나와서도 1조원 정도 글로벌 매출을 낼 만한 기회가 생긴다는 정도”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 기업 R&D 비용 10개를 합쳐도 MSD 한 군데에서 쓰는 비용 정도가 안 될 때가 많다”며 “국내 바이오기업이 죽음의 계곡을 넘기 위해선 VC, PE 투자 유치는 물론 SI 오픈이노베이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우 이사는 VC 심사역이 투자하고 싶은 국내 바이오 기업 조건으로는 ▲시장 진입 시기 ▲기술력 ▲주요인력 역량 ▲생동력 ▲생존력(회복탄력성) 등으로 봤다.
그는 “신약개발 핵심은 언제 시장에 나오느냐다. 이에 따라 약가가 결정되고, 그 약의 운명이 결정되기 때문에 타깃을 잘 설정하고, 물질을 빠르게 개발해서 시장에 빠르게 내놓느냐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장 5위 이내 혁신신약 개발 기업으로서 플랫폼 기술을 보유했는지, 빠른 매출 가능 포트폴리오 구성 여부 등도 중요하다”며 “여기에 연구 및 개발, 관리역량, 그리고 내외부 커뮤니케이션 능력, 리더십도 살펴본다”고 했다.
아울러 “또한 오픈이노베이션 등 협력을 통한 성공 사례가 많이 나와야 하며 투자 정책에 근거한 지속적인 투자, 기업 간 시너지 창출 토대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그는 “대규모 공모자금을 확보한 바이오텍이 신약을 만들어내지 못했다며 비난하기보단 기업 지원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면서 “레퍼런스를 계속 쌓고 정부도 이러한 성공이 이어질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줄여줘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