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으로 인한 의정갈등이 지속되는 가운데, "국민 74%가 공공의대 설립이 의료사각지대를 해결한다고 생각한다"는 여론 조사 결과를 더불어민주당에서 제시했다.
1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박희승 의원은 '공공의료 현안 여론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해당 조사는 공공의료 관련 여론을 알아보기 위해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이달 9일부터 10일까지 진행됐다.
박 의원은 "민주당이 당론법안으로 추진 중인 공공의대법에 대한 찬성 여론이 압도적으로 높았다"고 설명했다.
조사에 따르면 '의료 취약지와 공공의료기관에서 근무할 의사를 충원하기 위해 의대정원 확대가 필요한가'라는 질문에 81.9%가 긍정했다.
'공공의료 확대가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서 공감한 응답자는 80.6%를 차지했다.
또 '공공의대 설립으로 의료 사각지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도 74.3%가 공감했다. 공공의대 졸업생을 일정 기간 지역에 의무 근무시키는 방안에 대한 찬성 비율은 87.5%였다.
공공병원 설립 시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분야로는 ▲응급의료 66.2% ▲노인의료 14.1% ▲산모·신생아의료 11.8% 순으로 높았다.
최우선으로 시행해야 정책으로 응답자들은 지역의료 인력 확충 54.1%, 의대정원 확대 22.2% 등을 고르기도 했다.
박희승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무원칙, 불통, 과학으로 포장된 맹신 결과 공공 및 필수, 지역의료 기반이 송두리째 흔들리고 있다"며 "탄핵소추 상황에서 사실상 이 정부 의료개혁은 동력을 상실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후 대안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 중 하나가 바로 공공의대 설립"이라며 "속도를 내야 하고 정부의 전향적인 입장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앞서 박희승 의원이 대표발의한 공공의대 설립법은 ▲공공보건의료대학 설립 및 운영 근거 마련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대학원 등 설치 등의 내용을 담았다.
또 ▲의무복무 부여(10년) ▲설립비·운영비·학비 등 예산 지원 ▲지역인재 60% 이상 선발 등을 명시했다. 정부는 해당 법안에 대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