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이 중증 간(肝) 섬유증을 치료하는 최초의 경구용 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대웅제약은 자사의 신약 후보 물질 'DWP220'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이 주관하는 2024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로 선정됐다고 지난 18일 밝혔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시작된 범부처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으로 보건 의료분야 성과 창출을 목표로 신약 개발 전주기 단계를 지원한다.
간 섬유증은 간에 반복적인 손상과 염증이 발생하면서 간 조직이 비정상 조직으로 대체되는 과정이다. 과도한 지방이 축적되는 '지방간'이 오랜 시간 지속될 경우 간 섬유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간 섬유화 질환에서는 세포 외 기질(ECM) 성분, 특히 콜라겐이 과도하게 축적되면서 조직이 딱딱해지고 기능이 저하된다.
대웅제약이 개발 중인 DWP220은 간 섬유증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인 콜라겐의 축적을 억제하는 약물이다. 이러한 ECM의 주요 구성 성분인 콜라겐의 생성을 억제해 섬유화 진행을 막는 동시에 이미 진행된 섬유화를 감소시키고 조직 손상을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올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대사 이상성 지방간염(MASH) 치료제 '레스메티롬'의 경우 임상시험 결과 섬유증 개선 효과가 1단계 개선에 그쳐 한계가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전문가들은 간 섬유증 치료제의 추가 개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섬유증 악화로 인한 환자 사망률 증가로 미충족 의료 수요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특히 중증 간 섬유증의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한 치료제가 전혀 없는 가운데 DWP220이 상용화된다면 이는 중증 간 섬유증을 치료하는 세계 최초 경구용 치료제가 될 전망이다.
전(全) 세계 간 섬유증 시장은 2028년까지 매년 10% 이상 증가해 약 36조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대웅제약은 현재 임상 2상 단계에 있는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베르시포로신'의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콜라겐을 타깃으로 한 섬유증 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기술적 지식과 임상 진행 노하우를 확보한 바 있다.
이를 바탕으로 대웅제약은 이번 과제에서도 섬유화 질환 치료제 개발을 신속하고 최적화된 방식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2026년까지 후보 물질 개발이 목표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선정은 개발 가능성을 재확인한 계기가 돼다"며 "이를 통해 섬유증 치료제 개발 역량을 더욱 강화해서 신약 개발 능력을 입증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