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만성 스트레스에 의한 동맥경화 진행 및 심장마비 발생 연결 고리를 세포 움직임 실시간 추적 영상을 통해 밝혔다.
그동안 동맥 내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세포의 추적 영상은 기술적 난제로 여겨져 왔다.
고대구로병원 심혈관센터 김진원 교수,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유홍기 교수팀은 경동맥에서 만성 스트레스가 동맥경화 염증에 미치는 영향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에 따르면 만성 스트레스를 받은 쥐는 혈관으로의 백혈구 유입이 현저히 증가하는 등 스트레스가 동맥경화를 가속화하고 파열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지금까지 혈관에만 국한돼 왔던 동맥경화와 심장마비 치료 방향을 새로이 설정하는데 기여할 것이라는 평가다.
김진원 교수는 “스트레스가 심혈관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스트레스와 심혈관질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한 걸음 더 다가섰다”고 말했다.
이어 “심혈관질환 극복을 위해 중추 신경계 스트레스에 기반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찾는 후속 연구들을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심혈관 분야 저명 학술지인 ‘Arteriosclerosis, Thrombosis, and Vascular Biology’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