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스페인이 첨단바이오를 비롯해 인공지능(AI), 스마트팜 기반 천연소재 개발 등 협력을 추진한다.
특히 스페인은 유럽 1위, 세계 4위 임상시험 수행국으로 풍부한 임상시험 경험과 환자 네트워크를 보유해 차세대 혁신 치료제 개발에 속도가 빨라질 거란 관측이 나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는 지난 4일(현지시각) 스페인 과학혁신대학부, 국가연구기관과 바르셀로나에서 제2차 한-스페인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개최했다.
황성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제협력관과 테레사 리에고 알카이드 스페인 과학혁신대학부 차관보 등 양국 대표단 15명은 스페인 현지에서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한-스페인 과기공동위는 1976년 체결된 과학기술협정, 2015년에 맺은 과학기술협력 양해각서(MoU)에 따라 개최되는 협의체로 제1차 과기공동위는 2017년 마드리드에서 개최된 바 있다.
이번 제2차 과기공동위는 8년 만에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됐다. 황성훈 국제협력관을 수석대표로 과기정통부, 한국연구재단,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관계자가 참석했으며 스페인에서는 에바 오르테가 파이노 차관보를 수석대표로 과학혁신대학부를 비롯 까를로스 3세 국립보건원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과기공동위는 첨단 바이오 분야에서 양국 바이오 정책 공유와 공동연구 추진을 제안했으며 AI 분야에서는 양국 전략 소개와 함께 글로벌 거버넌스 정립을 위한 협력을 논의했다.
황성훈 국제협력관은 "이번 과기공동위원회 논의가 8년 공백기를 뛰어넘어 실질적인 결실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스페인 협력이 지속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