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직장인 김 씨는 최근 뒷목이 뻣뻣하고, 어깨 주변 피로감을 쉽게 느껴 집 근처 정형외과를 찾았다. 검사를 마친 김 씨는 의사로부터 ‘후종인대골화증’이 의심된다며 큰 병원을 찾을 것을 권유받았다. 당연히 목 디스크일 것이라고 생각했던 김 씨는 처음 들어보는 생소한 희귀 질환에 충격을 받았다.
생소한 후종인대골화증은 무엇인가
후종인대골화증은 생소한 질환으로, 척추에 있는 인대 중 하나인 후종인대, 즉 신경관 앞쪽에 있는 인대가 뼈처럼 단단하게 굳어지며 두꺼워지는 병이다.
후종인대골화증은 척추 후면에 세로로 달리는 인대에 골화가 일어나 척수가 압박을 받음으로써 발생하는 질환이다. 전 세계적으로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인에서 많이 나타난다.
발생 원인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유전적인 요소가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뇨 환자에서 보다 높은 빈도로 발생하고 있다.
이 질환 특징은 단단해진 인대가 점차 자랄 수 있다는 점이다. 자라는 속도는 골화증 유형과 발생 연령, 발생 부위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후종인대골화증이 발견됐을 때는 주기적으로 경과 관찰을 하면서 크기가 어떻게 변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목 디스크랑 비슷한 듯 하지만 다른 후종인대골화증
후종인대골화증은 심해지기 전까지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더 많다. 이후에 증상이 악화되면 목부터, 등, 허리 부위에 이르기까지 척추 전반에서 나타나며, 그 중에서도 목 부위 통증이 주로 나타난다. 이로 인해 목 디스크로 착각하는 환자들이 많다.
그러나 후종인대골화증은 목 디스크와 달리 척수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팔 저림, 운동 기능 장애, 보행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의 세밀한 움직임이 어려워 젓가락이나 물건을 자주 떨어뜨린다든지 글씨체가 변하기도 하고, 단추 채우기에 어려움을 느낀다. 하체의 경우 다리가 뻣뻣해지며, 힘이 빠져 걸을 때 다리가 휘청거리게 된다.
후종인대골화증 증상 중 가장 염두에 둬야 할 것은 목 부위 가장 큰 신경인 척수가 눌리는 척수증이다. 다른 증상들과는 달리 보존적 치료에 효과가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척수증이 발생한 환자는 주로 상체의 부자연스러운 손놀림과 보행장애를 호소한다.
무증상이라도 경과 관찰 필수
앞서 언급한대로 후종인대골화증 환자 중 증상이 없는 경우가 더 많다. 하지만 질환 특징상 인대가 자랄 수 있고 신경관이 좁은 경우에 자라날 확률이 더 높기 때문에 잘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처음 진단 시 CT와 MRI를 이용한며, 이 후 1년에 한번 정도 CT를 촬영해 골화증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 좋다.
후종인대골화증에 동반된 척수증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보존적인 치료가 효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증상이 진행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후종인대골화증 자체가 위험하다기보다 자신의 병에 대해 모르고 있는 상황이 위험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언급한 증상이 있거나, 비슷한 통증으로 인해 시행한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된 경우, 척추 전문의를 찾아 상담 받는다면 발생할 수 있는 큰 위험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