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김민수 기자]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의료계에도 인공지능(AI)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의료 분야는 인간 생명과 건강을 다루기 때문에 실제 진료현장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하려면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최근 의학자와 공학자들이 합심해 인공지능과 관련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뜻깊은 자리를 마련했다.
대한의료인공지능학회는 지난 18일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제1회 춘계학술대회 기자간담회를 열고, 창립배경 및 향후 계획 등에 대해 상세히 소개했다.
의료 분야 인공지능 연구 및 개발, 산학 연계, 정책 등을 폭넓게 논의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창립한 이 학회는 현재 정회원 216명, 웹회원 87명이 활동하고 있다.
"사회적 합의 도출 위한 백서 작성-융합의 장(場) 마련 최선"
서준범 회장(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교수)은 “공학, 의학의 융합은 낯선 부분이므로 창립 이후 상당한 고민을 이어왔다”고 운을 뗐다.
그는 “2달에 한 번씩 정례 세미나를 열면서 의학 뿐 아니라 최신 공학기술, 우수 벤처기업 사례 등을 회원들과 꾸준히 공유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현재 의료인공지능학회는 ▲지능형 의료기기 개발 및 임상적용 ▲산·학·연·병·정 융합의 장 마련 ▲유용하고 안전한 의료인공지능 기술 임상시험 촉진 ▲인재 육성 ▲산업 활성화 ▲국가 정책 개발 및 규제 조정을 위한 소통의 장 제공 등 6가지 비전을 수립했다.
서 회장[사진]은 “인공지능 수가 결정 등 여러 가지 이슈가 과제로 남아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어 “이에 따라 올해 안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기 위한 백서를 만들어 볼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