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기자] "세 번째 도전 끝에 국회에 입성한 만큼 남들보다 더 겸손하고 적극적인 자세로 초심을 잃지 않으며, 전인건강한 한국을 만들기 위해 사회 약사로서 최선을 다하겠다."
약사 출신 서정숙 미래통합당 비례대표 당선인은 데일리메디와의 인터뷰에서 이 같은 포부를 밝혔다. 야당에서 약계 출신 후보로 유일하게 국회 입성에 성공한 인물이다.
서정숙 당선인은 이화여대 약대 출신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상임감사와 한국여약사회장, 서울시의회 의원, 국민통합·해냄복지회 이사장 등 다양한 사회활동을 해왔으며, 미래한국당의 전신인 한나라당·새누리당에서도 주요 역할을 맡아왔다.
30여 년간 보수 정당에서 활동해왔지만, 금배지를 다는 일은 쉽지 않았다. 19대 총선에선 비례대표 후보가 됐다가 빠졌고, 20대 총선에선 부패 공천으로 기회를 잃었다. 그러나 포기하지 않고 와신상담하며 재도전했다.
그 결과 이번 21대 총선에서 비례대표 후보 17번을 받아 국회 입성에 성공했다. 보건의료 전문가로서, 정치인으로서 균형적인 시각과 통합적인 관점으로 의정활동을 펼치며 사회 현안들에 목소리를 내겠다는 그를 만나봤다.
Q. 국회의원에 당선된 소감
기쁘면서도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 특히 야당에서 유일하게 당선된 약계 출신 후보이기에 사명감이 든다. 30여년간 보수 정당에서 활동하며 쌓아온 경험들과 보건의료인으로서 가진 전문성을 잘 활용해 나라와 국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일을 하고 싶다.
Q. 국회 입성 과정이 녹록치 않았다
만만찮은 일이었다. 세 번 도전한 일은 내 인생에서 큰 공부가 됐다. 공천 과정에서 여러 일을 겪으면서 좌절하며 실망해 포기를 고민한 적도 있다. 그 때마다 도산 안창호 선생의 상해 연설 중 '너희 중에 지도자가 없다고 한탄하지 말고 네가 나서라'는 말을 마음에 되새기며 오히려 긍정적인 자세로 더 열심히 미래를 준비했다.
Q. 약사에서 정치인의 길을 걷게 된 이유
제 나름의 가치를 갖고 33년간 보수 정당에서 활동해왔다. 국회의원이 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정치가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여겨 애국, 애당하는 마음으로 함께 해왔다. 어려운 일이 있으면 솔선수범하고 정당 내 개혁세력으로 소신있게 의견도 개진했다. 그러나 이런 주장이 반향을 일으키려면 국회의원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약국에서 약사로 일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지만, 사회 약사로서 우리 사회 약자를 위한 정책을 펼치고 싶어 정치인의 길을 선택했다.
"보건복지부 책임 차관제 추진 통해 전문성 및 효율성 제고 필요"
"미래 먹거리 '제약·바이오와 의료기기산업' 육성 적극 지원"
"약자 위한 다양한 정책 펼쳐 보이겠다"
Q. 초선 의원으로서 꼭 하고 싶은 일은
아무래도 약사 출신이다보니 상임위원회 가운데 보건복지위원회를 가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