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치매환자 수 증가 폭이 심상치 않다. 2008년 국가에서 전국적으로 실시했던 치매 유병률 조사 결과 약 42만명이었던 치매 환자는 10년이 지난 지금 약 75만 명을 기록하며, 10년 만에 79%가 증가했다.
이에 따라 치매와 밀접하게 연관된 사람의 수도 증가했다. 치매환자의 배우자와 자녀세대까지 포함하면 치매로부터 자유롭지 않은 국민은 약 375만 명으로 추산된다 .
그렇다면 치매환자 수 증가속도를 늦출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이러한 고민에서 시작된 것이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의 발견이다.
경도인지장애란 나이가 듦에 따라 발생하는 건망증과 치매에 의한 기억장애 사이의 중간 상태를 일컫는 것으로, 치매 전 임상단계를 지칭한다.
조기에 진단과 치료가 중요한 알츠하이머형 치매를 가장 빨리 발견할 수 있는 시기라는 점에서, 경도인지장애는 치매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중요한 개념으로 떠올랐다.
수치적으로 보자면 경도인지장애는 치매환자를 선별하는 간이정신상태검사(MMSE,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결과 26점 내외의 환자를 말한다.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기억력이 어느 정도 감소하나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유지되기 때문에 자칫 치료 중요성을 간과하기 쉽다.
경도인지장애는 알츠하이머형 치매로의 진행을 늦출 수 있는 ‘골든타임’이라는 점에서, 경도인지장애 치료 자체가 치매 치료 목표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하나의 길이 될 수 있다.
이에 사회적 관심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최근에는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에서 어떤 사람이 치매로 전환될 것인가를 미리 밝힘으로써 치매 조기 치료의 측면에서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어 이와 관련된 연구도 이어지고 있다.
아직 경도인지장애의 약물 치료에 대한 뚜렷한 지침은 없으나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인식 제고를 통해 조기 진단 및 관리가 활발해지면, 치매로 이행되는 환자 수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경도인지장애 환자 관리는 환자가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기간을 늘려주며, 치매로 이환되기까지의 시간을 벌어줘 환자와 가족이 치매 이후 삶에 보다 잘 대비할 수 있게 해 준다.
올해 초 치매환자를 소재로 한 드라마 제목처럼 치매는 이른 시기부터 대비할수록 ‘눈이 부시게’ 변화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져 치매환자 수 증가에 제동을 거는 하나의 동력으로 작용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