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산업이 비메모리 반도체 및 미래형 자동차와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하며 국가가 집중 육성할 미래 기간산업으로 선정됐다.
정부는 글로벌 진출 및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올해 총 4779억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이는 지난해 4324억보다 10.5% 늘어난 규모다. 지원금은 제2차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 5개년 종합계획의 2년차 시행계획 일환으로 투자된다.
이 같은 지원금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 개발 플랫폼과 스마트 임상시험 인프라를 구축하고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한 신기술 활성화에 쓰인다. 정보기술(IT)와 바이오기술(BT)를 접목한 융합형 인재 육성에도 투입된다.
새로운 국가 기간산업 육성을 위해 다양한 부처들이 머리를 맞댄다.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물론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농림축산식품부 등이 신산업 융복합 촉진을 위해 협력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산업 성장을 저해하는 불필요한 규제를 과감하게 줄여나간다는 계획도 밝혔다. 규제업무를 담당하는 식약처는 현 정부의 기조에 발맞춰 신속하고 슬림한 심사 및 허가제도 시행 등의 규제 완화를 약속한 바 있다.
이처럼 정부가 '바이오헬스 강국'을 선언하며 장밋빛 미래를 그리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체감효과가 떨어진다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악성 규제를 완화하겠다는 정부 약속이 상황에 따라 자주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새로운 규제가 더 생기고 있다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국내 한 바이오업체 CEO는 "정부가 바이오산업을 미래 신사업으로 키우기 위해 5000억원 가까운 투자에 나섰지만 실제 혜택을 받는 업체들은 그리 많지 않다"며 "여기에다 약가제도 개편, 품질관리 강화 등 규제는 나날이 늘어 앞으로 3~5년 사이 무너지는 업체들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고 업계 상황을 설명했다.